By 시티타임스 CityTimes
CityTimes – [시티타임스=한국일반]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이 대파 등 농산물을 살펴보고 있다. 2024.2.2/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지난해 먹거리 물가가 크게 치솟으며 근로자들의 실질소득 감소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펴낸 ‘농식품 물가 이슈, 진단과 과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농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119.3으로 2020년보다 19.3%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2.7%)보다 7%가량 높은 것으로 가공식품(119.4), 외식(119.0) 등도 함께 상승세를 기록했다.
국제곡물가격 상승 여파와 함께 봄·여름 기상악화 등으로 인한 영향이다.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가공식품 물가가 2.0~21.8% 올랐다. 폭염, 폭우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던 과실류는 전년보다 25.7% 상승한 143.8로 조사됐다.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가중치는 각 7.5%, 외식은 13.8%로 먹거리 물가의 상승은 근로자 실질소득의 감소세로 이어졌다.
2023년 3분기 기준 실질소득은 448만7000원으로 2019년 3분기(432만원)보다 3.7% 상승한 반면, 농식품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421만4000원으로 같은기간(462만9000원)보다 9.0% 하락했다.
이런 실질소득 감소는 전체 소비지출에서 식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엥겔지수)이 높은 저소득층에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1분위 가구는 외식 40.8%, 농축수산물 31.8%를 기록하며 물가 상승에 취약한 구조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분위 10분위 가구의 경우 식품 지출비 중 외식 지출 비율이 50%를 넘고 농축수산물 지출 비율이 21.5%로 물가 상승 체감이 크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특히 1분위 가구는 곡물, 채소 등에 사용하는 비중이 고소득 계층보다 2배 이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저소득계층은 식품 지출액을 늘리지 못하다가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실질소득이 증가한 뒤에야 상승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농경원은 “물가 상승에 더 취약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물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농식품 물가 상승은 저소득계층의 식생활 유지에 어려움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티타임스에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