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치러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 모두 가상자산(크립토)에 대해 친화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누가 당선되더라도 가상자산 업계와 시장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2일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싱크탱크 해시드오픈리서치(HOR)가 낸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대선은 과거와 달리 가상자산이란 주제가 판도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 첫 번째 선거인데, 민주당의 경우 전통적으로 민주당을 지지하는 주(Blue States)의 가상자산 투자자 비중이 높은 것을 감안할 때 기존의 강경한 정책적 입장을 고수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HOR은 전체 유권자의 약 20%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을 갖고 있어 이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양당의 친(親) 가상자산 공약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봤다.
미국의 가상자산 투자사 패러다임이 올해 3월과 6월, 7월 유권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국인의 69%가 현재의 금융 시스템에 만족하지 않고 있으며, 등록 유권자의 19%가 가상자산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인종별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등 비백인 유권자인 경우 가상자산 투자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후보의 경우 자신의 자산의 일부를 가상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업계 친화적인 입장을 공개적으로 보이고 있다. 미 언론들이 공직자 후보 재산 공개 자료를 인용, 보도한 데 따르면, 트럼프 후보는 이더리움 100만달러(약 13억5920만원)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또 지난 7월27일 열린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에 참석해 비트코인을 원유처럼 국가 전략 자산으로 보유할 것이며 “미국을 전 세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해리스 후보는 그동안 특별한 입장을 드러내지 않다가 지난 9월 22일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자산과 같은 혁신 기술을 장려하는 동시에 소비자와 투자자를 보호할 것”이라면서 처음으로 가상자산에 대해 언급했다. HOR은 “아직 세부 사항이 공개되지는 않았으나 이미 대선에서 가상자산이 주요 어젠다로 자리잡은 만큼 타협점을 찾기 위한 (민주당) 나름대로의 노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HOR은 이와 함께 가상자산 영역으로 진입하려는 미국의 전통 금융사들의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이후 피델리티, 블랙록 등이 가상자산 마케팅을 본격화할 경우 현재는 비백인 인종에서 더 활발한 가상자산 투자가 백인 그룹에서도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020년 기준 미국의 인종별 분포를 보면 백인계가 62%로 가장 많고, 히스패닉이 19%, 아프리카계 12%, 아시아계 6%로 구성된다.
또한 HOR이 이번 118대 회기 미국 상하원에서 발의된 크립토, 블록체인 관련 법안을 전수 조사한 결과, 총 54개 관련 법안이 발의돼 있었으며 크게 1)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법안 11개, 2)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및 스테이블 코인 법안 14개, 3) 크립토 자산 규제 명확화 법안 15개, 4) 자금세탁방지(AML)및 테러자금조달방지(CFT) 제재 법안 10개, 5) 투자자 보호 법안 4개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비트코인을 미국의 국가 준비자산(reserve asset)으로 지정하거나, 특정 세금을 비트코인으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디지털 신원 인증과 전통 자산의 토큰화, 공급망 추적, 국경 안보 방면에서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사용을 장려하도록 하는 내용들이 포함됐다고 HOR은 전했다.
올해 미 의회에서 가상자산 산업 역사상 큰 획을 그었다고 평가될 만한 성과가 있었는데 FIT21 법안의 하원 통과, SEC의 가상자산 회계 정책 SAB121 무효화, CBDC 반감시 국가법안(CBDC Anti-Surveillance State Act) 하원 통과 등이 그것.
HOR은 “아직은 상원이나 하원 한 쪽에서만 통과됐거나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최종 확정된 법안이 나오지 못한 상태이지만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중심으로 행해졌던 규제 일변도의 분위기는 미국 의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 표명을 통해 올해를 지나 내년 중에는 유의미하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