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4년 9월 19일(목) 오전 7시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여 금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에 미친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금융위원회 김병환 위원장,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 등이 참석했다.
미 연준은 간밤 FOMC에서 ’20년 3월 이후 4년 6개월 만에 정책금리를 50bp 인하하여 금리 상단이 5.5%에서 5.0%로 내렸으며, 올해 인하폭 전망을 25bp에서 100bp로, 내년까지의 인하폭 전망을 125bp에서 200bp로 확대했다. 또한 연준은 올해 인플레이션 전망을 낮춘 반면 실업률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완전고용을 지원하는 데 강력히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50bp 인하가 7월 회의 후 추가된 지표가 반영된 결과임을 설명하고, 필요시 인하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늦출 수 있으며 적절하다면 멈출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금일 새벽 글로벌 금융시장은 이미 빅컷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반영되어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최상목 부총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전환(Pivot)을 계기로,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의 유동성 과잉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공급망 충격이 중첩되어 촉발됐던 글로벌 복합위기로부터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8월 초 미국발 글로벌 증시 급락에서 보듯, 통화정책 전환 과정에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 미 대선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도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 부총리는 “정부가 높은 경계심을 가지고 관계기관과 긴밀히 공조하여 대내외 상황 변화에 대응하겠다”며 리스크 관리와 내수 활성화·민생 안정 등 정책 대응방향을 공유했다.
최 부종리는 국내 금융시장에 대해 “회사채 금리 하락 등으로 기업의 자금 조달이 원활하고, CP·CD 등 단기 금리도 하락세를 유지하는 등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이라고 평했다. 다만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관계기관 24시간 합동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고,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에는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에 따라 시장 안정 조치를 신속히 시행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 유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계부채, 부동산 시장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리스크 요인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했다.
가계대출은 주택 거래 증가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증가했지만 9월부터 시행된 정책 효과 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정부는 8.8 부동산 공급 대책 추진을 가속화하면서 주택시장이 과열되거나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할 경우, 추가적인 관리 수단을 적기에 과감하게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부동산 PF도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유도하겠다”면서 “1차 사업성 평가 결과, 금융업과 건설업계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그 외 사업장도 11월까지 평가를 마무리한 후 상시평가 체계로 전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을 계기로 내수 활성화와 민생 안정에도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우리 경제는 견조한 수출 호조로 회복 흐름이 이어져 왔지만, 내수 회복은 상대적으로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도 “최근 물가 안정, 시중 금리 하락 등으로 내수 제약 요인이 완화되면서 투자와 서비스 소비부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실질 임금이 9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되는 등 소비 여력도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체감 물가 안정을 더욱 강화하고, 저소득층 및 소상공인, 건설 등 취약 부문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범부처 투자 활성화 추진 체계 본격 가동 등을 통해 내수와 민생 회복 속도를 더욱 높이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