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인재란?…한은 “수능보다 소통 잘해야”

출처: 블록미디어

10일 한국은행은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BOK이슈노트’를 발간했다. 작성자는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과 장수정 조사역, 한지우 한은 디지털혁신실 조사역이다.

저자들이 직업별로 수학적(인지적), 사회적 업무 강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측정한 결과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년 동안 사회적 기술 집중 일자리 비중은 49%에서 56%로 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인지적 기술 집약 일자리는 50%에서 55%로 늘었고, 사회적·기술적 능력이 덜 필요한 일자리는 43%에서 36%로 감소했다. 저자들은 노동시장 전반에서 쓰이는 기술의 수준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여기서 인지적 능력은 언어, 수리, 외국어 과목의 백분위 등 수능 성적으로 대상으로, 사회적 능력은 학창시절에 대한 만족도와 친구집단의 성향, 개인성향 등을 바탕으로 측정했다.

사회적 능력이 높은 이들은 임금 상승도 가팔랐다. 개인의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을 때 임금이 2007~2015년 중에는 4.4% 높았고, 2016~2020년 중에는 1.5%포인트 더 늘어난 5.9%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인지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을 때는 임금이 2007~2015년 중 10.9% 높았으나 2016~2020년 중에는 1.6%포인트 낮은 9.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고용 뿐만 아니라 임금 보상 측면에서도 노동시장의 사회적 능력이 중요했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사회적 능력이 중요해진 이유에 대해 자동화 기술 발전으로 인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업무가 대체되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하지만 사회적 기술과 가장 밀접히 관련된 업무인 비반복적·인지적(대화) 업무는 AI 기술로도 대체하기 어려운 영역이라고 풀이했다.

오 팀장은 “자동화 기술에 의해 다양한 업무가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교육 및 직업훈련 측면에서 더욱 중요하다”이라며 “교육현장에서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계발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