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AI 혁명은 물가와 금리를 어디로 이끌까③

End-Puff Banner

출처: 블록미디어

고용 충격과 디플레이션적 미래?

이 기사는 3월 26일 오후 4시4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5. AI와 고용

AI는 고용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가장 논쟁적인 이슈 가운데 하나다.

몇가지 선행 연구가 있다. 골드만삭스의 작년 3월 보고서는 “유럽과 미국의 직업 데이터에 바탕할 경우 현재 일자리의 대략 3분의 2가 어느 정도 AI 자동화에 노출돼 있다”며 “생성형 AI가 현재 일자리의 최대 4분의 1을 대체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나아가 이러한 추정을 글로벌 고용시장에 대입하면 전 세계 3억개 일자리(전체의 18% : 신흥국의 경우 AI에 노출된 직군 비중이 낮은 점을 감안)가 AI로가 대체될 수 있다고 했다.  골드만의 이러한 추정은 더 광범위한 자동화(로봇공학 진화에 따른 노동대체)를 포함하는 다른 기관의 연구물과 달리, 생성형 AI의 영향만 다루고 있다. 그래서 보수적 추정이라 평할 수도 있다.

맥켄지는 AI가 현행 근로 시간의 60~70%를 자동화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만큼의 고용 대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웰스파고는 지난 8월 보고서에서 “다양한 연구에서 보여주듯 생성형 AI는 교육 수준이 높은 근로자, 즉 고임금 `화이트 칼라` 직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AI 노출도가 가장 높은 상위 20개 직업에는 교사와 텔레마케트, 정치 과학자(정치학자), 중개자, 판사, 심리학자 등이 포함돼 있다”고 소개했다.

물론 골드만삭스와 웰스파고 등은 AI의 도입이 고용시장에 파멸적 결과를 낳지는 않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과거 크고 작은 기술혁신들에서 경험했듯 새로운 일자리가 끊임없이 생겨나면서 기존 일자리에서 이탈한 이들을 흡수할 것이라고 봤다.

골드만은 “오늘날 일자리의 60%는 1940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라며 “지난 80년 동안 고용 증가의 85% 이상이 기술 중심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웰스파고 역시 AI가 1990년대 IT혁명과 같은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한다면 그에 따른 매크로 영향은 “실질GDP와 실질소득, 그리고 전반적인 고용의 가속화일 것이라고 역사는 말한다”고 했다. 미국의 비농업 부문 고용은 1948년 4500만명에서, 75년간 기술혁신을 거듭하며 현재 1억5630만명으로 불어나 있다고 했다.

어느 시대나 노동을 대체할 기술혁신은 이뤄져 왔고 그때마다 어김없이 등장했던 `고용 종말론`은 마크 트웨인의 유명한 말(“내 죽음에 대한 보도는 크게 과장됐다”)처럼 과장된 것으로 판명났다고 덧붙였다.

7. 고용 충격과 디플레이션적 미래?

이들의 희망회로와 달리 과연 이번에도 그러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AI 보급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세상을 실제 마주할 때까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AI의 고용 대체 과정이 점진적이거나 주요국의 노동가능인구 감소를 상쇄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혹은 AI가 기존 노동력을 크게 대체하지 못하고 보조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은 완만할 것이다. 반면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속도보다 기존 일자리의 소멸 속도가 더 빠르다면 그리고 이 변화에 대응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고통을 피하기 어렵다.

그 고통은 일시적일 수도 있고 고용 생태계에 대사멸(Permian extinction)을 불러오는 충격적 사건일 수도 있다 – 웰스파고는 과장된 상상이라 했지만.

완만하든 급격하든, AI 보급에 의한 실업률 증가와 고임금 직종(화이트칼러)의 감소는 기본적으로 가계 구매력에 타격을 가한다.

여기에다 AI도입에 따른 생산성 증대의 결과물(늘어난 부가가치)이 소수 기업과 특정 계층에 의해 독점된다면, 그리하여 노동에 대한 보상(분배)이 오히려 낮아진다면 소비는 더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경제 전체로는 AI가 생산성과 실질소득을 끌어올리린다 해도 소비성향이 높은 대중에게 돌아갈 몫이 변변치 않다면 소비는 위축되기 쉽다.

이는 디스인플레이션 혹은 디플레이션적 미래에 해당한다.

위축된 소비는 미국의 경기를 가라앉혀 금리를 끌어내리게 된다. 불안한 미래에 대비하려는 가계가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면 생산성 증대에도 (자금공급 증가, 즉 자금공급곡선의 우측 이동으로) 실질 중립금리의 상승폭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런 전개가 AI 도입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마찰에 불과할지, 새로 만들어질 일자리에 의해 순조롭게 완충될지는 지켜보는 수 밖에 없다. 당장 구글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에선 연초부터 감원 발표가 잇따랐다 – AI가 일부 직원을 대신하게 됐다.

8. 재정정책은

AI의 전면 도입이 실업자 폭증과 심각한 사회 불안을 야기할 경우 정치는 어떻게 작동할까. 여야불문 다음 선거를 생각하면 민심을 받들어야 한다. 젠슨 황이나 옆집 톰에게 주어진 표는 동일한 한 표다. 당장 손쉬운 방책은 재정을 풀어 실직 가계를 보조하는 것이다. (고용 충격에 대비해 실업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경우에도 재정지출은 늘어난다)

AI 진화 경쟁에서 가장 앞서 있는, 그리하여 AI발 고용충격이 가장 먼저 나타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현재 재정적자가 심각하다. 작년처럼 완전고용과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고성장세 하에서도 재정적자는 GDP의 6.5%에 달했다. 실업이 급증해 경기가 얼어붙으면 다시 재정정책을 가동하라는 정치적 압력이 고조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렇게 재정적자는 더 악화된다.

연준도 손놓고 있을 수 없다. 금리 인하와 함께 양적완화(QE)를 재개해야 할 수 있다. 재정적자를 늘리는 상황에서 가동되는 QE는 한층 부채 화폐화의 색깔을 띠게 된다. 이는 `화폐 오염`을 의미한다.

언제 어디서든 인플레이션은 화페적 현상이다. 당장 CPI 바스킷에 포함된 품목들의 가격을 끌어올리지는 못하더라도 자산가격을 밀어올리는 장약이 될 수 있다. 재정정책의 강도에 따라서는 시차를 두고 다시 인플레이션을 밀어올릴 수도 있다. 이런 화폐 오염이 장기화할 것이 겁난다면 화폐 자산이 아닌 비 화폐 자산을 사야 한다.

물론 이러한 미래는 월가의 기본 시나리오는 아니다. 디스토피아적 미래에 가깝다.

여전히 많은 AI 담론은 불완전한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AI 도입에 따른 생산성 증대가 실제 어느 정도일지, 그 발현 시점이 언제일지(직군별 저항과 규제가 AI 보급을 가로막지는 않을지), AI의 물가상승률 억제력이 어느 정도일지, AI가 노동을 얼마나 대체할지 많은 게 미지의 영역이다.

매크로 환경을 좌우할 요소에는 AI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지정학적 이슈, 인구동태 변화 등 다른 굵직한 변수들이 여럿 자리하고 있다. 전 세계 주요 곡창지대에 2년만 비가 오지 않아도 AI보다 매크로에 더 파괴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요 변수별 상호 관계를 따지고 무엇이 본류이고 지류인지 판단하는 것은 시기마다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참고로 웰링턴 운용은 “AI 도입으로 외국인 근로자와 해외 공급망 의존이 줄면서 탈세계화가 가속화해 오히려 전체 생산성을 저하시킬 위험도 자리한다”고 했다. BNP파리바는 “AI발 생산성 증가가 인플레이션 둔화에 기여하겠지만 통화와 재정정책이 그 힘을 상쇄할 수 있으며 탈세계화와 기후변화정책, 인구고령화 등 구조적 요인이 인플레이션에 더 큰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했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