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ETF, 사상 최저치 AUM 기록… 7주간 순유출 11억 달러

출처: 블록체인투데이

[블록체인투데이 이아름 기자]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성적이 최근의 시장 변동석 속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운용자산(AUM)을 유지 중인 비트코인 ETF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21일(현지 시각) 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 현물 ETF의 AUM은 지난 18일 기준 45억7000만 달러로 감소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감소는 7주 연속 순유출이 이어진 결과로, 해당 기간 동안 ETF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무려 11억 달러에 달한다.

가장 큰 자금 유출원 중 하나는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ETHE였다. ETHE는 2.5%의 높은 운용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어, 블랙록(BlackRock)의 0.25% 수수료를 적용한 경쟁 상품과 비교해 투자자들의 이탈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 신탁 상품인 GBTC와 마찬가지로, ETHE 역시 락업(의무 보유) 기간 종료 이후 대규모 환매에 직면했다. 수수료 격차는 장기 보유자에게 상당한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며, 특히 가격에 민감한 현재의 시장 환경에서 그 영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더리움 ETF는 디지털 금이라는 명확한 내러티브와 높은 기관 이해도를 기반으로 투자 유입이 계속된 비트코인 ETF와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의 복잡한 가치 제안과 구조, 그리고 네트워크 토큰으로서의 특성이 기관 투자자들의 망설임을 유발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더리움 ETF에 대한 ‘스테이킹 금지’ 기조를 유지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선호하던 이더리움 본래의 수익(이자) 요소가 사라진 것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