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네트워크, 불명확한 로드맵 논란 속 4% 반등

출처: 토큰포스트

파이 네트워크의 가격이 새로운 메인넷 마이그레이션 로드맵 발표 이후 24시간 동안 4% 상승했다. 일부 기술적 지표에서 회복 신호가 보이고 있지만, 현재 상승 추세를 확인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이치모쿠 클라우드와 RSI 등 기술적 지표들이 가격 회복을 암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돌파를 가로막는 강력한 저항에 직면해 있다. 게다가 파이 커뮤니티 내에서는 새로운 마이그레이션 로드맵이 충분히 명확하지 않다는 불만이 제기되면서 향후 가격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

파이 네트워크는 메인넷 마이그레이션 로드맵을 공개했지만, 구체적인 일정과 세부사항이 부족해 사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로드맵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타임라인이 제시되지 않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코인 잔액에 불일치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모든 토큰이 제네시스 시점에 발행되었다는 주장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프로젝트의 투명성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이번 달 1억890만 토큰이 언락되었지만 사용자들은 마이그레이션이 어떻게 진행될지 불확실한 상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고 있다.

현재 파이는 주요 저항선인 이치모쿠 클라우드 바로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어 매수세가 가격을 끌어올리려 시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격이 고점을 높여가며 회복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지만, 아직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했다.

또한 시장이 아직 강한 상승세를 보이지 않아 단기 모멘텀이 중기 추세보다 약하다는 점에서 매수 신호가 명확하지 않다. 트레이더들은 신중한 자세를 유지하며 더 강력한 신호가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치모쿠 클라우드가 두꺼워지고 기울기가 커지는 것은 큰 폭의 가격 변동이 임박했음을 시사한다. 파이가 클라우드를 돌파하면 강한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지만, 그전까지는 여전히 약세 전환 위험이 있는 취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파이 네트워크의 RSI는 32.34에서 53.77로 반등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57.25까지 상승한 후 약간 하락하며 상승 모멘텀이 약화됐다. RSI는 중립-상승 구간에 있어 적정 강도를 보이고 있지만 과매수 수준과는 거리가 있다. 모멘텀이 쌓이면 상승 여력이 있지만, 추세가 아직 확실하지 않아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파이 네트워크는 0.66달러의 주요 저항선을 시험하고 있다. 돌파 시 0.789달러와 0.858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상승 모멘텀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있다. 성공적인 돌파는 파이를 1.23달러 또는 1.79달러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불명확한 마이그레이션 로드맵으로 인한 불안감이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0.66달러 돌파에 실패하면 0.54달러나 0.4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

앞으로 몇 차례의 거래 세션이 기술적 신호와 커뮤니티 심리의 영향을 받아 토큰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명확한 돌파나 하락이 나타날 때까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컨센서스 2025가 빠르게 다가오면서 파이 네트워크 커뮤니티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분석가 닥터 알트코인은 파이 설립자 니콜라스 코칼리스가 보 하인스와 에릭 트럼프와 함께 무대에 오를 예정이라며 이번 행사가 파이 네트워크를 홍보할 주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닥터 알트코인은 컨센서스 2025가 파이 네트워크의 전환점이 될 수 있지만, 이는 파이 코어팀의 신속한 행동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행사 전에 모든 KYB 신청을 승인하고 파이 생태계의 DApp을 공식 출시할 것을 촉구하며, 이를 통해 글로벌 주목도를 극대화하고 파이의 신뢰성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파이 코어팀은 컨센서스 2025 전까지 한 달도 안 되는 시간 동안 KYB 승인과 DApp 출시를 완료해야 하는데, 지연으로 인해 일부 프로젝트들이 다른 블록체인으로 이동한 상태다. 현재 파이 가격은 0.64달러 수준이지만, 향후 개발과 대형 기관 도입 가능성으로 인해 일부에서는 3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다만 단기적인 변동성은 여전히 우려 사항으로 남아있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