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비트코인정책연구소(BPI)의 정책책임자 잭 샤피로는 이번 주 비트코인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의 100만 비트코인(BTC) 매입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언급했다. 샤피로는 “미국이 100만 비트코인을 매입한다고 발표하면 이는 세계적인 지각변동이 될 것이며, 비트코인 가격은 급등해 1BTC당 100만 달러에 신속히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논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3월에 서명한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과 디지털자산 비축을 설립하는 대통령령을 배경으로 이뤄졌다. 이후 친암호화폐 성향의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은 “BITCOIN법안”을 재제출해 미국 정부에 100만 BTC 매입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다만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전망된다.
BPI의 매튜 파인즈 이그제큐티브 디렉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초강대국을 목표로 한다면 결국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이 중요하다. 이는 미국이 그 목표를 얼마나 진지하게 달성하려 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통령령은 또한 납세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추가 비트코인 매입을 위한 ‘예산중립적인’ 전략을 수립하도록 재무장관과 상무장관에게 지시했다. 파인즈는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취득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원으로 관세수입을 꼽았다.
“정부가 비트코인 매입에 사용할 수 있는 수입은 관세수입이나 세금 이외의 정부가 징수하는 수수료 등이 고려된다”고 파인즈는 밝혔다. 여기에는 석유·가스 리스의 로열티, 연방정부 보유지 매각, 실물 금, 기타 디지털자산 등도 포함된다고 한다.
아울러 파인즈는 미국의 대규모 비트코인 매입이 계기가 되어 다른 국가들도 독자적인 비트코인 전략을 전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디지털자산 담당 고위관리 보 하인즈는 이번 주 관세수입 등을 활용한 ‘창의적인 방법’으로 비트코인 취득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