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블록체인투데이
[블록체인투데이 정주필 기자] 포스텍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전문가 8기 교육 과정에서 엘리시아(ELYSIA)의 공동창업자이자 기획자인 임정건이 ‘RWA(Real World Asset)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강의는 실물자산의 블록체인 상 토큰화와 그 기술·시장·정책적 함의를 폭넓게 다루며 교육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임정건 기획자는 “RWA는 단순한 토큰화 기술이 아닌, 현실 세계와 블록체인을 잇는 근본적인 인프라 혁신”이라며 “규제와 회계, 실물 흐름, 거버넌스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진정한 Web3 금융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엘리시아는 2018년부터 실물 부동산을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토큰화 프로젝트로 출범했으며, 이후 담보대출, P2P 금융, PF, 디파이(DeFi), 마켓플레이스까지 확장해왔다. 현재는 다양한 실물 자산을 온체인에서 운용할 수 있는 툴과 인프라를 개발하고 있다.
임 기획자는 강의에서 RWA의 핵심 가치를 ▲자산 유동성 증대 ▲국경 없는 투자 접근성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 ▲중개비용 절감 ▲거래 자동화 및 표준화 등으로 설명했다. 그는 “부동산, 국채, 사모펀드 등 전통 자산을 누구나 쉽게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게 되면, 진정한 자산 민주화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강의는 Ondo Finance, BlackRock(BUIDL), Securitize, Parcl 등 대표적 글로벌 RWA 프로젝트들의 구조와 목표를 소개하며,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간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BlackRock이 이더리움 메인넷 기반으로 직접 발행한 BUIDL 토큰은 RWA 시장이 더 이상 실험 단계에 머무르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꼽혔다. Parcl은 미국 도시의 부동산 가격 지수에 롱/숏 포지션을 취할 수 있는 구조로, 실물 기반 데이터를 파생상품으로 확장한 실전형 모델이다.
임정건 기획자는 “한국에서는 전자증권법, 자본시장법 등 기존 규제가 RWA 발행 및 유통을 제약하고 있다”며 “환율 문제, 세금 처리, 김치프리미엄 등 구조적 장벽도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RWA를 외화 기반으로 구성할 때 발생하는 환차손·과세 이슈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On/Off-ramp(법정화폐↔가상자산 전환)의 제한은 유통시장 성장에 핵심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국내 RWA 산업의 확장성을 가로막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 기획자는 강의 말미에서 “RWA는 기술적인 이해를 넘어서, 제도·사람·데이터·시장 흐름까지 통합하는 설계가 필요하다”며 “글로벌 표준화와 국내 특수성을 동시에 고려한 유연한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엘리시아는 향후 Layer1 수준의 RWA 인프라 개발, 다양한 파트너십 체결, 실물 자산 디지털화 도구 제공 등을 통해 RWA 산업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강의는 포스텍이 주관하는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전문가 양성 과정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블록체인 산업의 실질적 응용과 글로벌 흐름을 학문과 실무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