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국내 법 집행 기관 담당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가상자산 범죄는 ‘투자사기’와 ‘보이스피싱’으로 나타났다.
바이낸스는 경찰청, 경찰수사연수원 등과 함께 수사 역량 강화와 협력 방안을 찾기 위해 법 집행 기관 소속 담당자 22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40.6%가 관할 지역에서 가장 흔히 접하는 가상자산 범죄로 ‘투자사기’를 꼽았다. 이어 ‘보이스피싱’이 23.6%로 두 번째로 많았다. 다음으로 ‘해킹’ 14.2%, ‘로맨스스캠’과 ‘마약’이 각 6.6%로 조사됐다.
가상자산 범죄 수사에 핵심 정보로는 ‘거래소의 KYC 정보’가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75%에 달했다. 이어 ‘블록체인 거래 내역’(132명), ‘계좌 및 금융 거래 정보’(128명), ‘IP 접속 기록’(117명) 등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지식 및 전문성 부족’이 전체의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익명 거래의 추적 어려움’(25.8%), ‘수사 도구 및 자원 부족’(9.3%) 등이 지적됐다.
응답자들은 범죄 대응을 위해 거래소와 밀접한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추적 수사 도구 업그레이드, 네트워크 강화, 전문 교육 확대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바이낸스는 수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열린 세미나에는 국내외 법 집행기관 관계자 600여 명이 참여했다. 유로폴 사이버 범죄 센터 출신 전문 강사와 경찰청 가상자산 수사 경험자가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바이낸스는 앞으로도 실용적인 정보와 기술 지원을 통해 국내 법 집행 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