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가짜 AI 기반 NFT 투자 플랫폼으로 의심받는 TreasureNFT가 출금 정지 사태로 이용자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있다. 이 플랫폼은 한 달 기준 최대 30%라는 비현실적인 수익률을 제시하며 많은 투자자들을 끌어들였지만, 최근 출금 지연과 계정 정지 사례가 속출하면서 폰지 사기 논란에 휩싸였다.
가짜 AI 기반 NFT 투자 플랫폼으로 의심받는 TreasureNFT가 출금 정지 사태로 이용자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있다. 이 플랫폼은 한 달 기준 최대 30%라는 비현실적인 수익률을 제시하며 많은 투자자들을 끌어들였지만, 최근 출금 지연과 계정 정지 사례가 속출하면서 폰지 사기 논란에 휩싸였다.
TreasureNFT는 지난 2024년 설립돼 투자금 100달러당 4.3%에서 6.8%까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며 AI가 NFT 거래를 자동화해 고수익을 달성해준다고 홍보해왔다. 이후 다단계 구조를 바탕으로 신규 투자자를 유치할 때마다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위험 신호가 포착되기 시작했다.
TreasureNFT는 지난 2024년 설립돼 투자금 100달러당 4.3%에서 6.8%까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며 AI가 NFT 거래를 자동화해 고수익을 달성해준다고 홍보해왔다. 이후 다단계 구조를 바탕으로 신규 투자자를 유치할 때마다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위험 신호가 포착되기 시작했다.
암호화폐 분석가 XYZ 크립토는 최근 유튜브 영상을 통해 TreasureNFT가 초기에는 실제 수익을 지급하며 신뢰를 구축한 후 플랫폼이 성장할수록 출금 기간을 점점 연장하며 최종적으로 무기한 지연 상태에 빠졌다고 경고했다. 특히 지난달 말부터 투자자들이 출금을 시도하면 복잡한 수작업 방식의 절차를 요구하며 추가 수수료와 거래 해시를 제출하게 하고, 기술적인 이유로 대부분의 요청을 거절하고 있다는 보고가 이어졌다.
암호화폐 분석가 XYZ 크립토는 최근 유튜브 영상을 통해 TreasureNFT가 초기에는 실제 수익을 지급하며 신뢰를 구축한 후 플랫폼이 성장할수록 출금 기간을 점점 연장하며 최종적으로 무기한 지연 상태에 빠졌다고 경고했다. 특히 지난달 말부터 투자자들이 출금을 시도하면 복잡한 수작업 방식의 절차를 요구하며 추가 수수료와 거래 해시를 제출하게 하고, 기술적인 이유로 대부분의 요청을 거절하고 있다는 보고가 이어졌다.
XYZ 크립토는 TreasureNFT가 과거 수억 달러의 피해를 남긴 해시플레어(HashFlare)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며, 실체 없는 서비스에 의존해 신규 투자금으로 운영을 이어간 전형적인 폰지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이 분석가는 지나치게 높은 수익 보장, 신규 투자금에 의존한 수익 구조, 거짓 프로필로 보이는 링크드인 팀 소개 등을 의심 징후로 지적했다.
XYZ 크립토는 TreasureNFT가 과거 수억 달러의 피해를 남긴 해시플레어(HashFlare)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며, 실체 없는 서비스에 의존해 신규 투자금으로 운영을 이어간 전형적인 폰지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이 분석가는 지나치게 높은 수익 보장, 신규 투자금에 의존한 수익 구조, 거짓 프로필로 보이는 링크드인 팀 소개 등을 의심 징후로 지적했다.
불만을 품은 사용자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불만을 터뜨리고 있으며, 일부 투자자는 계정 자체가 잠겨 접속조차 되지 않는 상태라고 호소했다. 출금 지연 피해를 주장하는 투자자 파르한 칸은 “며칠째 출금이 승인되지 않고 있다,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달라”며 X(구 트위터)를 통해 항의했다.
불만을 품은 사용자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불만을 터뜨리고 있으며, 일부 투자자는 계정 자체가 잠겨 접속조차 되지 않는 상태라고 호소했다. 출금 지연 피해를 주장하는 투자자 파르한 칸은 “며칠째 출금이 승인되지 않고 있다,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달라”며 X(구 트위터)를 통해 항의했다.
TreasureNFT 측은 공식 X 계정을 통해 “출금 폭증 상황에서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과 보안을 위해 수작업 출금 절차를 도입했다”고 해명했으나, 실제 처리 성과는 미미하다. 현재까지 총 1,887건 중 단 121건(약 6.4%)의 수동 출금 요청만이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대부분 사소한 오류를 이유로 거절되거나 처리 지연 상태다.
TreasureNFT 측은 공식 X 계정을 통해 “출금 폭증 상황에서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과 보안을 위해 수작업 출금 절차를 도입했다”고 해명했으나, 실제 처리 성과는 미미하다. 현재까지 총 1,887건 중 단 121건(약 6.4%)의 수동 출금 요청만이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대부분 사소한 오류를 이유로 거절되거나 처리 지연 상태다.
이와 같은 사기성 프로젝트가 속출하면서 암호화폐 업계에 대한 신뢰도는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블록체인 보안업체 사이버스(Cyvers)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투자자들이 ‘피그 부처링(pig butchering)’ 사기 수법 등으로 잃은 금액이 55억 달러(약 8조 3000억 원)를 넘어섰다.
이와 같은 사기성 프로젝트가 속출하면서 암호화폐 업계에 대한 신뢰도는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블록체인 보안업체 사이버스(Cyvers)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투자자들이 ‘피그 부처링(pig butchering)’ 사기 수법 등으로 잃은 금액이 55억 달러(약 8조 3000억 원)를 넘어섰다.
현재 TreasureNFT 공식 웹사이트는 여전히 접속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비보안 사이트’로 표시되고 있다. 플랫폼의 텔레그램 공식 채널 역시 41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3월 30일 이후 별다른 공지가 없는 상태로,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사기로 정리하고 있다.
현재 TreasureNFT 공식 웹사이트는 여전히 접속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비보안 사이트’로 표시되고 있다. 플랫폼의 텔레그램 공식 채널 역시 41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3월 30일 이후 별다른 공지가 없는 상태로,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사기로 정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