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aChain 재단, 2025년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극대화 로드맵 발표

출처: 블록체인투데이

[블록체인투데이 김대홍 기자] 블록체인 플랫폼 CreataChain 재단이 2025년 크로스체인 간 상호운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의 핵심 목표는 EVM과 Non-EVM 체인을 모두 포괄하는 고도화된 크로스체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CreataChain은 EVM 기반 Catena Chain(CVM)과 Non-CVM 구조의 Zenith Chain으로 구성된 듀얼체인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Web3 개발 환경에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특히 두 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프로토콜 ‘Lunar Link’를 통해 데이터 및 자산 전송이 가능한 웹 플랫폼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매끄러운 블록체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더해 솔라나(Solana)의 SPL 토큰 지원을 포함하고, 텔레그램 기반의 TON Network 통합도 추진함으로써 커뮤니티 기반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 트론, 폴카닷, 카르다노 등 Non-EVM 기반 블록체인에 대한 지원도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EVM 체인과의 연동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Catena Chain을 통해 이미 2024년 중 모든 주요 EVM 체인들과의 연결 및 토큰 전송을 지원하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2025년에는 Fantom, Cronos 등 Layer 1 체인뿐 아니라 Arbitrum, Optimism 등 Layer 2 솔루션과의 상호운용성 또한 적극 추진된다. 이를 통해 CreataChain은 인터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허브로서 기능하며, 메시지·데이터 전송은 물론 DEX 및 스왑 허브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Zenith Chain에서는 Lunar Link의 Layer 1 상호운용성 기술을 활용해 노드 단위의 직접적인 체인 간 연계를 확대 중이다. 현재 테스트 중인 Lunar Link 시스템은 SDK 기반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양한 블록체인을 CreataChain 생태계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컨센서스 레벨에서 온체인 상호운용성을 구현해 Layer 2 연결의 병목 문제를 해소하고 네트워크 속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CreataChain 재단 관계자는 “외부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CreataChain 네트워크로 미러링할 수 있는 Web3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며 “기존 프로젝트들이 데이터 히스토리를 유지한 채 CreataChain으로 쉽게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신규 환경에서의 재개발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CreataChain은 AI 기술과 블록체인의 융합을 통해 Augusteum Layered Architecture 기반의 완전 자율 운영 시스템 구축 연구도 병행 중이다. 합의 알고리즘 및 P2P 네트워크 최적화, 블록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 등을 목표로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하고 있으며, 메타버스 및 Web3 생태계 간의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한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향후에는 다양한 메타버스 및 AR 시스템 간의 실시간 데이터 교환은 물론, CreataChain 기반 앱 특화 체인 간 효율적인 연계도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CreataChain 재단은 이번 2025년 로드맵을 통해 블록체인 산업의 새로운 기술적 표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탑 티어 거래소 상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생태계 확장을 통해 블록체인 시장의 선도적 입지를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