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블록체인투데이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7년 전 1000만원을 투자하여 현재 129억원의 가치의 수익을 본 강릉시 의원이 화제다.
2일 뉴스1에 따르면 김홍수 강릉시 의원이 처음 OES 코인과 도너클(DONOCLE) 코인을 매입한 건 지난 2018년 무렵으로 알려졌다. 당시 그는 약 1000만원을 들여 43만5000여개의 코인을 구매했다.
그로부터 7년이 흐른 지금, 김 의원이 보유한 가상자산의 가치는 무려 129억원에 달한다. 전 재산의 대부분이 가상자산인 그는 이제 한국에서 가장 많은 코인을 보유한 공직자가 됐다.
최근 공직자윤리시스템에 공개된 ‘2025년도 정기재산변동 신고 자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재산을 신고한 고위공직자들 가운데 가장 많은 가상자산(129억3677만원)을 보유했다. 지난해 신고한 가상자산 금액(116억2576만원)보다 약 13억원 늘어난 수치다.
김 의원은 지난 2018년 OES 코인 19만5555개, 도너클 코인 24만개를 약 1000만원에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개에 약 23원의 가격으로 43만여개의 가상자산을 사들인 것이다. 그는 코인을 7년 동안 매도하지 않고 그대로 보관했다.
김 의원의 판단은 예상치 못한 수확으로 돌아왔다. 김 의원의 가상자산 보유액이 7년 동안 1000배가 넘는 129억원으로 불어나면서다. 개당 23원이던 코인의 가치가 2만9000원까지 치솟은 셈이다.
김 의원은 재산 신고 당시 “가상자산 보유량은 이전과 동일하나 코인 가격·환율 변화에 따라 가격이 변동했다”고 말했다. 단 한 번의 매수 후 묵혀둔 가상자산이 엄청난 부를 안겨준 것이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1000배가 넘는 가격 상승은 매우 드문 사례다. 시가총액 1위 가상자산 비트코인(BTC)의 경우 지난 2018년 이후 현재까지 약 12배 상승했으며 이더리움(ETH) 또한 같은 기간 약 4.5배 오르는 데 그쳤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른 가상자산과 비교하면 김 의원이 보유한 코인의 폭등세는 상식을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강릉시 의회 관계자는 “해당 코인들은 (김 의원이) 예전부터 갖고 있던 것으로 지난해 첫 신고를 했다”며 “현금화는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던 지난 2018년 당시 잘 알려지지 않은 일명 ‘잡코인’에 한번 투자한 금액이 급격히 불어나자 지금은 김 의원의 재산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김 의원의 가상자산 보유액 129억원은 전체 신고 재산(134억3846만원)의 96%에 달한다. 김 의원이 신고한 토지(1억5595만원)와 건물(2억5275만원), 예금(1억6543만원)을 모두 합쳐도 가상자산 보유액의 5%에 못 미친다. 7년 동안 묵혀둔 가상자산이 김 의원을 ‘코인 부자’로 이끈 셈이다.
다만 김 의원이 투자한 가상자산은 업비트와 빗썸 등 국내 중앙화 거래소(CEX)에선 거래되지 않는다. OES 코인의 경우 탈중앙화 거래소(DEX) 유니스왑에서 거래가 가능하지만 유동성이 극히 낮아 원활한 매매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도너클 코인의 경우 유니스왑을 비롯해 다른 DEX 스시스왑에서도 거래 내역을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김 의원도 가상자산 현금화가 어려워 현물로 보유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강릉시 의회 관계자는 “한국에는 상장되지 않은 코인”이라며 “신고 가액은 지난해 12월 31일 한 해외 거래소에서 판매된 금액에 환율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어느 거래소를 이용했느냐는 질문에 “정확한 거래소 이름까지는 파악이 안 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이 글로벌 대형 DEX가 아닌,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거래소의 가격을 기준으로 재산을 신고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