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상호 운용 가능한 레이어-1 블록체인 인젝티브(Injective)가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를 인젝티브 네트워크의 밸리데이터로 영입했다고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간)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이번 파트너십은 네트워크의 보안성, 신뢰성, 그리고 신용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밸리데이터로서 구글 클라우드는 네트워크 보안 강화, 트랜잭션 검증, 그리고 생태계의 탈중앙화와 견고성 증진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인젝티브는 구글 클라우드 웹3 포털을 통해 구글 클라우드의 프로토콜 가속기 도구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 포털은 개발자 도구, 교육 모듈, 테스트넷 수도꼭지, 색인된 데이터 등 블록체인 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팀은 인젝티브 개발자 스위트도 구글 클라우드에 호스팅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개발자 채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인젝티브는 구글 클라우드, 엘리자OS(ElizaOS), 도라핵스(DoraHacks)와 협력하여 AI 에이전트 해커톤을 개최할 예정이다. 팀에 따르면, 이 행사를 통해 개발자들은 인젝티브의 AI 에이전트 빌더인 iAgent를 사용해 금융 분야 전반에 걸친 독특한 AI 에이전트 사용 사례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발표에 따르면 “이 모든 추가 사항들이 웹2와 웹3 개발자들이 인젝티브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출시 및 성장시키는 것을 더 쉽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한다.
주목할 점은 구글 클라우드가 소수의 프로토콜에만 웹3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인젝티브 외에도 폴리곤(Polygon)과 BNB 같은 블록체인이 포함된다.
개발자들은 이미 구글 클라우드의 웹3 솔루션 스위트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인젝티브에서 디앱 개발 및 테스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INJ 테스트넷 토큰을 제공하는 웹3 수도꼭지(Faucet)가 포함된다.
또한 팀들은 구글 클라우드의 웹3 학습 포털에 인젝티브 관련 콘텐츠를 추가할 예정이다. 이 교육 플랫폼은 개발자들에게 구글 클라우드와 웹3 파트너의 솔루션 및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사례 연구와 튜토리얼 같은 리소스를 제공한다.
2023년 10월 인젝티브 넥서스(Injective Nexus)가 발표한 통합 덕분에 인젝티브의 블록체인 데이터는 이제 구글 클라우드의 빅쿼리(BigQuery) 공개 데이터 세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팀에 따르면 개발자들은 이제 전체 블록체인 상태, 금융 및 트랜잭션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큐레이션된 데이터를 위한 더 많은 대시보드도 이용할 수 있다.
발표에 따르면 “빅쿼리의 인젝티브 데이터는 고급 디파이 애플리케이션, 머신러닝 모델, 기관 트레이딩 전략을 구축하는 길을 열어준다”고 한다.
한편,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글을 쓰는 시점에 이 체인의 총 가치(TVL)는 3092만 달러였다.
동시에 INJ 코인은 24시간 내 4.1% 상승해 현재 10.9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주간 기준 14% 상승했지만, 월간 28%, 연간 73% 하락했다.
2024년 3월 사상 최고가 52.62달러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79% 하락했다.
2월 말, 인젝티브는 도이치 텔레콤(Deutsche Telekom)의 자회사를 네트워크의 공식 밸리데이터로 맞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