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캐나다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중앙화 거래소(CEX), 탈중앙화 거래소(DEX), 비트코인 ATM, 현지 대체 플랫폼 등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비트코인 ETF 투자도 가능하다.
2024년 기준, 캐나다인의 약 10.1%가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어 호주(9.6%), 독일(8.3%), 노르웨이(8.7%)보다 높은 채택률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비트코인을 ‘상품’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금융거래보고분석센터(FINTRAC)의 규제 아래 거래소들은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 조달 방지(CTF)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캐나다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하려면 먼저 거래소에 계정을 개설하고 신원 인증 절차(KYC)를 거쳐야 한다.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신용카드, 은행 송금 등을 통해 비트코인을 직접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낸스, 코인베이스와 같은 글로벌 거래소뿐만 아니라 캐나다 기반 뉴턴(Newton), 버고CX(VirgoCX) 등 현지 거래소에서도 비트코인을 살 수 있다.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비트코인을 구매하려면, 메타마스크나 트러스트 월렛 같은 비수탁형 지갑을 연결해야 한다. 다만 비트코인 네트워크 자체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DEX에서는 Wrapped Bitcoin(WBTC) 같은 토큰화된 형태의 비트코인을 거래해야 한다.
비트코인 ATM 이용 방식도 있다. 사용자는 신분증을 스캔한 후 캐나다 달러(CAD)를 투입해 개인 지갑으로 비트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비트코인 ETF 투자도 가능해지면서, 증권 계좌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에 투자할 수도 있다.
비트코인 보관 방법도 중요하다. 거래소의 핫월렛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해킹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하드웨어 월렛 같은 콜드월렛 사용이 권장된다. 캐나다 국세청(CRA)은 비트코인 거래에 대한 세금 규정을 명확히 하고 있다. 자본 이득의 50%를 과세 대상으로 삼으며, 상업적 거래에 해당될 경우 별도로 사업 소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캐나다는 암호화폐 도입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캐나다인의 약 32%가 암호화폐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코인 ATM, ETF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캐나다에서 비트코인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