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미국의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가 비트코인(BTC) 준비금이 국가 부채 감축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2029년까지 100만 BTC를 비축하고 비트코인 가격이 향후 25년 동안 연평균 25% 상승한다면, 2049년까지 약 21조 달러(약 3경 240조 원)의 국가 부채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연구 책임자인 매튜 시겔(Matthew Sigel)은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축적하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초 36조 달러(약 5경 1,840조 원)에 달하는 미국의 국가 부채가 연평균 5% 증가할 경우, 2049년에는 116조 달러(약 16경 7,040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에크는 이 시점에 비트코인이 2,100만 달러(약 302억 4,000만 원)까지 상승할 경우, 미국 정부의 재정 압박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전망은 공화당 소속 신시아 루미스(Senator Cynthia Lummis) 상원의원이 발의한 ‘비트코인 법안(BITCOIN Act)’과 맞물린다. 해당 법안은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채택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해 루미스 의원은 “비트코인의 가치를 국가 경제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편, 비트코인을 국가 준비 자산으로 채택하려는 움직임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야권 지도자인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María Corina Machado)는 비트코인을 국가 매장 자산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스위스와 홍콩 역시 중앙은행 및 금융 시스템 내 암호화폐 도입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다만, 비트멕스(BitMEX) 창립자인 아서 헤이즈(Arthur Hayes)는 “비트코인을 국가 부채 감축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정치적 명분일 뿐, 실질적인 재정 안정성과는 거리가 있다”고 비판했다.
비트코인의 장기적인 가격 상승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주요 국가들이 암호화폐를 경제적 도구로 적극 고려하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