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라자루스 그룹의 대규모 해킹 사건 이후,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롤백’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벤 조우(Bybit) CEO는 탈취된 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이더리움 재단과도 해결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우 CEO는 22일 X 스페이스에서 라자루스의 해킹 이전 시점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되돌리는 방안을 지지하는지 질문받았다. 그는 “이것이 한 사람의 결정으로 이뤄질 문제가 아니다”라며 “블록체인의 정신에 따라 커뮤니티의 투표를 통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더리움은 과거 2016년 ‘다오(DAO) 해킹’ 사건 이후 하드포크를 단행한 바 있다. 당시 6,000만 달러(약 864억 원) 상당의 ETH가 유출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되돌리는 조치가 이뤄지면서 현재의 이더리움(ETH)과 이더리움 클래식(ETC)으로 분리됐다.
현재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라자루스 그룹은 약 48만 9,395 ETH, 13억 달러(약 1조 8,720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보유 중이다. 여러 지갑을 오가며 자금 흐름을 숨기고 있어, 당국은 이를 추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바이빗은 탈취된 자금 회수를 위해 최대 1억 4,000만 달러(약 2,016억 원) 상당의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또한 테더(USDT) CEO 파올로 아르도이노는 해킹과 관련된 18만 1,000 USDT를 동결했으며, 비트겟(Bitget) CEO 그레이시 천은 라자루스 그룹과 관련된 거래를 차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업계 내 보안 문제와 중앙화 거래소의 대응 방식에 대한 논의를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롤백 가능성이 현실화될지는 커뮤니티 내 격렬한 논쟁 속에서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