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바이비트(Bybit)가 역대 최대 규모의 해킹 공격을 당하며 약 15억 달러(약 2조 1,600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단일 해킹 사례로 기록되며, 보안 전문가들은 점점 정교해지는 공격 기법에 경각심을 표하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 기업 할본(Halborn)의 공동 창립자인 롭 벤케는 “이번 공격은 이전보다 훨씬 창의적인 방식으로 이뤄졌다”며 “암호화폐 업계의 성장과 함께 해커들의 수법도 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바이비트 측은 사건 후 즉시 조사에 착수했으며,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해킹 사건은 2월 21일 발생했으며, 해커는 바이비트의 이더리움(ETH) 콜드 월렛에서 40만 ETH를 포함한 대규모 ERC-20 토큰을 탈취한 것으로 분석됐다.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와 아크헴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는 북한의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 그룹’이 이번 공격의 배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해당 그룹은 과거 로닌브릿지(Ronin Bridge)와 폴리 네트워크(Poly Network) 해킹 등 여러 대형 사이버 범죄에 연루된 바 있다.
해킹 이후 바이비트의 자산 가치는 53억 달러(약 7조 6,300억 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벤 저우 바이비트 CEO는 “고객의 자산은 1:1로 완전히 보전되고 있으며, 해킹으로 인한 손실도 자체적으로 충당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바이비트는 파트너사와 협력해 손실복구를 위한 브릿지 대출을 확보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공격은 단순한 자산 탈취를 넘어 암호화폐 업계의 보안 허점을 다시금 부각시키고 있다. 할본 관계자는 “고객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거래소의 보안 프로토콜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특히 대규모 자산을 보관하는 콜드 월렛의 보안 수준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이번 사건이 업계 전반에 걸쳐 규제 강화와 보안 점검의 필요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거래소들이 더욱 강력한 보안 조치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이 같은 초대형 해킹 사건이 반복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