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이더리움 재단이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에 약 1억2000만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ETH)을 공급하며, 보유 자산을 활용한 수익 창출에 나섰다.
13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 재단은 다중서명(Multi-sig) 지갑에서 3만800 ETH(약 8160만 달러)를 아베(Aave)에 예치했다. 이 중 2만800 ETH(약 5500만 달러)는 아베의 코어 마켓(Core Market)에, 1만 ETH(약 2600만 달러)는 아베 프라임(Aave Prime)에 할당되었다.
또한, 1만 ETH(약 2600만 달러)가 메이커다오(MakerDAO) 생태계의 대출 프로토콜인 스파크(Spark)에 예치되었으며, 4200 ETH(약 1120만 달러)는 컴파운드(Compound)에 공급되었다.
이더리움 재단의 이번 움직임은 보유 자산을 매각하지 않고 디파이를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현재 공급 금리(1.5%)를 기준으로 연간 약 150만 달러의 이자 수익이 예상된다.
지난달 이더리움 재단은 5만 ETH를 다중서명 지갑으로 이전하며, 디파이 프로토콜 지원을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이더리움 재단은 과거 운영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ETH를 매도해왔으며, 이에 대한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일부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재단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며, 아야 미야구치(Aya Miyaguchi) 이사장의 교체를 포함한 리더십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디파이 예치는 재단이 ETH 매도를 줄이고, 생태계 내에서 자산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재단의 디파이 예치가 지속적으로 확대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