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관 투자자 암호화폐 거래 단계적 허용… 제도권 진입 신호탄

출처: 토큰포스트

한국 금융 당국이 기관 투자자의 암호화폐 거래를 단계적으로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법 제정 이후 한국의 규제 환경이 더욱 명확해지고, 제도권 금융이 암호화폐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길이 열리는 신호로 해석된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공식 입장을 통해 기관 투자자의 암호화폐 거래를 허용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한국에서 가상자산 거래는 개인 투자자들에게만 열려 있었지만, 이번 정책 변화로 인해 점진적인 규제 완화가 예고되고 있다.

당국은 또한 비영리 단체와 대학이 기부받은 가상자산을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관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합법적으로 현금화할 수 있는 규정이 마련될 전망이다. 특히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운영 비용 충당을 위해 자체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다만, 금융 당국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공통 판매 지침을 마련해 거래소가 이용자의 이익을 해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 않도록 감독할 계획이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선거 당시부터 친암호화폐 정책을 강조해왔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도 디지털 자산 산업 활성화를 위해 현물 기반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작년 7월, 최초의 포괄적인 가상자산 규제 법안인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법’을 제정하며 시장 제도화를 본격 추진했다.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이번 정책 전환은 한국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허브로 도약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조사업체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한국의 암호화폐 시장 매출 규모는 2025년까지 8억2,340만 달러(약 1조1,9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용자 수도 1,241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결정은 한국 금융 시장의 변화를 예고하며, 기관 투자자의 유입이 본격화될 경우 가상자산 시장의 유동성과 신뢰도가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