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블록체인투데이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뉴스1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암호화폐 탈취의 3분의 1이 북한 해커 소행이라는 분석이 나왔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2일 보도했다.
VOA에 따르면 미국의 암호화폐 분석 정보업체 TRM 랩스는 ‘2025년 암호화폐 범죄 보고서’를 통해 “북한은 2024년 전체 암호화폐 도난 피해 금액의 약 35%인 8억 달러를 훔쳤다”고 밝혔다.
TRM 랩스는 “이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2024년 (북한 조직의) 해킹 활동 급증은 암호화폐 분야의 위협 환경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공격이 두드러짐에 따라 업계는 더 강력한 보안 조치를 시행해야 하는 압박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보고서는 “평균적으로 북한 해킹 조직의 공격 규모는 다른 해커들보다 약 5배 크다”며 “이는 고위험 작전을 강조하는 북한의 공격 방식을 잘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북한 해킹조직과 그들이 협력하는 암호화폐 자금 세탁 그룹들이 암호화폐 자금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을 늘리고 다양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지난해 6월 암호화폐 믹싱 서비스 운영사인 ‘와사비 월렛’과 ‘사무라이 월렛’이 미국과 국제 법 집행 기관의 압박으로 운영을 중단하자 북한이 조인 마켓이나 믹세로, 와사비 월렛의 새 독립 운영사 등과 같은 대체 서비스로 전환하며 범죄 적응력을 보여준 사례를 들기도 했다.
TRM 랩스의 아리 레드보드 글로벌 정책 책임자는 이날 VOA와의 통화에서 “북한의 사이버 범죄 활동은 전 세계 여느 곳과도 다르다”며 “북한 해커들은 국가 지원을 받는 것이 아닌 국가 그 자체”라고 지적했다.
미국 재무부에서 테러 자금 조달 및 사이버 보안 검사를 맡았던 레드보드 책임자는 “북한은 암호화폐 탈취에 중점을 두고 전 세계 기업을 공격하는 전문 사이버 범죄자로 구성된 핵심 조직을 구축했다”며 “암호화폐 탈취는 디지털 시대의 은행 강도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그는 일단 해킹이 발생하면 법 집행 기관 및 국가 보안 기관과 협력해 해당 자금을 추적하고 회수해야 하는데, 이미 늦은 경우가 많은 만큼 애초에 북한의 해킹 및 암호화폐 탈취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