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블록체인투데이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뉴스1에 따르면 한국 성인 4명 중 1명은 가상자산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성인의 가상자산 투자 비중(19%)보다 높은 수준이다. 가상자산 투자의 진입장벽이 낮은 점과 높은 수익률에 대한 기대가 주된 투자 이유로 꼽혔다.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해시드오픈리서치는 12일 ‘한국 가상자산 투자자 그들은 누구인가’ 보고서를 통해 “한국 성인의 25%가 가상자산에 투자 중”이라며 “미국 성인이 가상자산을 보유한 비율(19%)보다 많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20~60대 성인 인터넷 사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의 54%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40대(43%)와 20대(39%)가 뒤를 이었다. 50대의 경우에도 33%가 가상자산 투자를 해봤다고 응답해 20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 60대는 19%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가상자산에 투자하지 않지만 앞으로 투자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11.4%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가 안정된 40~60대가 투자 의사를 다수 밝혔다. 해시드오픈리서치는 “가상자산 투자가 전 연령대에서 더 대중화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해시드오픈리서치는 가상자산 투자의 진입 장벽이 주식·부동산보다 낮고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전 연령대로 가상자산 투자의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상자산 투자자 절반 이상(51%)은 가상자산 투자 이유로 ‘단기적으로 다른 자산 대비 높은 수익 기대’를 꼽았다. 주변인의 추천(47%), 편리한 입출금(39%), 24시간 거래(23%) 등 투자 진입 장벽이 낮은 점도 이유로 언급됐다.
해시드오픈리서치 관계자는 “가상자산 투자가 대중화하고 투자 저변이 확대하는 상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해외 국가들이 가상자산을 제도화하는 추세를 따라 한국도 가상자산 법제화가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