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美 CBOE BZX, 21쉐어스 ETH ETF 스테이킹 허용 제안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를 통해 “CBOE 산하 증권 거래소 BZX(CBOE BZX Exchange)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암호화폐 ETP 발행사 21쉐어스(21Shares)의 이더리움 ETF에 대해 스테이킹을 할 수 있도록 규정 14.11 개정을 제안했다. SEC에 스테이킹 허용을 요청한 최초 사례”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앱토스 USDC 입출금 지원 코인베이스가 공식 X를 통해 앱토스 기반 USDC 입출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로빈후드 지난해 4Q 암호화폐 거래 수익, 전년 比 700% ↑ 주식·암호화폐 거래 앱 로빈후드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 “해당 기간 암호화폐 거래 수익이 젼년 대비 700% 이상 증가한 3억 5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아울러 전체 순익은 전년 대비 115% 증가한 10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POPCAT·PENGU 상장 코인베이스가 X를 통해 솔라나 기반 POPCAT과 PENGU를 상장한다고 밝혔다. 다른 네트워크의 자산은 지원하지 않는다. 유동성 조건이 충족되면, 13일 18시(한국시간) 이후 거래가 시작된다.
미 증시 3대 지수 혼조 마감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S&P500: -0.27% 나스닥: +0.03% 다우: -0.5%
해시플레어 공동 설립자, ‘암호화폐 전신사기’ 혐의 유죄 인정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클라우드 채굴업체 해시플레어(HashFlare)의 공동 설립자가 암호화폐 전신사기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연방 법원에서 열린 심리에서 이반 투로긴(Ivan Turogin)과 세르게이 포타펜코(Sergei Potapenko) 해시플레어 공동 설립자는 검찰이 제기한 18개 혐의 중 1개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해시플레어 사건은 수십만 명의 피해자가 총 5.7억 달러 규모의 피해를 입은 폰지 사기 사건이다. 해시플레어는 암호화폐 채굴을 위해 해싱 파워를 임대한다고 주장했으며, 가짜 은행에 대한 투자도 유도했다.
브라질, 월드코인 서비스 중단 연기 요청 거부 디크립트에 따르면 브라질 데이터보호기관(ANPD)이 홍채 스캔 신원 인증 프로젝트 월드(구 월드코인, WLD)의 서비스 중단 시작 시기 연기 요청을 거부했다. 앞서 ANPD는 월드 측에 현지 서비스 중단을 명령했고, 월드는 변경 사항 적용 등을 이유로 서비스 중단 시기 연기를 요청했다. 그러나 ANPD는 연기되는 기간 동안 월드 측이 홍채 데이터를 지속 수집할 수 있다며, 해당 요청을 거부했다. ANPD는 지난 달 “지난해 11월부터 월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다. 토큰 보상을 미끼로 브라질 국민들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해서는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분석 “USDC 시총 급증, 솔라나 디파이 거래량 증가 영향” 코인데스크가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아르테미스(Artemis) 데이터를 인용, “서클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시가총액(시총)이 최근 한 달 사이 102억 달러 늘어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솔라나(SOL) 기반 디파이 거래량 증가 영향으로 보인다. 아울러 USDC와 USDT 등 스테이블코인 시총 증가는 암호화폐 시장에는 긍정적인 시그널이다”라고 분석했다. 앞서 10일 USDC 시총은 562억 달러를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바 있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USDC 시총은 560.8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코인베이스 파생상품 거래소, SOL·HBAR 선물 상품 출시 암호화폐 속보 X 계정 솔리드인텔(@solidintel_x)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파생상품 거래소(Coinbase Derivatives Exchange)가 솔라나(SOL), 헤데라(HBAR) 선물 상품을 출시했다. 앞서 1월 코인베이스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솔라나 선물, 나노 솔라나 선물, 헤데라 선물 상품 상장을 위한 서류를 제출한 바 있다.
자오창펑 “반려견 기반 밈코인 출시, 좋은 아이디어… 고민해볼 것” 바이낸스 전 최고경영자(CEO) 자오창펑이 X를 통해 자신의 반려견을 기반으로 한 밈코인을 출시하자는 커뮤니티 제안에 대해 “흥미로운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그는 사진과 이름을 요청하는 유저의 트윗 글을 인용, “반려견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할지 혹은 대의를 위해 관련 정보를 공개할지 하루이틀 정도 숙고하겠다”며 “해당 밈코인은 BNB체인에서 일부 밈코인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며 “만약에 한다면 제대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차기 OCC 청장으로 前 비트퓨리 임원 지명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차기 통화감독청(OCC) 청장으로 전 비트코인 채굴 기업 겸 블록체인 기술 업체 비트퓨리(Bitfury) 임원 조나단 굴드(Jonathan Gould)를 지명했다. 그는 비트퓨리에 합류 전 OCC의 수석부회장 겸 수석법률고문을 맡은 바 있다. 미디어는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된 주요 기관의 차기 책임자 명단이 거의 공개됐다”고 전했다.
블록스트림 CEO “CBDC, BTC와 전혀 다르다… 없어져야 할 것”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 블록스트림(Blockstream) CEO이자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 아담 백(Adam Back)이 “비트코인이 승리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나는 CBDC가 사라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BTC ETF 등 상품은 투자를 쉽게 만들어주는 방법 중 하나다. 궁극적으로 더 많은 사람이 비트코인 네트워크로 유입될 것이다. 그러나 CBDC는 정반대”라며 “CBDC는 단순한 통화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금융 감시, 사회 크레딧 시스템, 국가 통제 등 광범위한 의제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18개월 동안 미국 공화당은 CBDC에서 급격히 돌아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또한 최근 특정 기관이 CBDC 발행 혹은 홍보를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못하도록 금지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비트코인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LIT→HEI 마이그레이션 미지원” 코인베이스가 X를 통해 “우리는 DYP V2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지 않는다. 보유자는 마이그레이션 포털 혹은 셀프 커스터디(Self-Custody, 자체 보유) 월렛을 활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리퀴티 “V2 스태빌리티 풀 관련 잠재적 문제 조사 중… 포지션 종료 촉구” 이더리움(ETH) 기반 렌딩 프로토콜 리퀴티(Liquity)가 공식 X를 통해 리퀴티 V2 스태빌리티 풀(Stability Pools)과 관련된 잠재적 문제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리퀴티는 “관련 잠재적 영향을 확인하고 있다”며 “프로토콜은 문제없이 작동하고 있으며, 현재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해당 문제가 사용자에게 끼친 영향은 없다. 이용자는 주의를 기울여 스태빌리티 풀 포지션을 종료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파월 “금리, 현재 수준 유지… 인플레 하락 증거 기다릴 것”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이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하락 증거를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푸틴과 우크라 전쟁 종전 협상 즉각 시작 합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나와 푸틴은 서로의 국가를 방문,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고 워처구루 X 계정이 전했다. 최근 미국과 러시아가 수감자 맞교환을 진행하는 등 관계 개선 분위기를 조성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논의가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애널 “골드만삭스 BTC 현물 ETF 보유량 확대, 순매수 포지션 아닌 방향성 헤지 수단” 골드만삭스가 지난해 4분기 BTC 현물 ETF 보유량을 114% 늘린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코인데스크 수석 애널리스트 제임스 반 스트라튼(James Van Straten)이 순매수 포지션이 아닌 방향성 헤지일 가능성이 크고 평가했다. 그는 “기업의 비트코인 ETF 보유량은 은행 자체를 위함이 아닌 고객을 대표하는 물량일 수 있다. 다른 은행 및 헤지펀드와 마찬가지로 골드만삭스의 해당 포지션은 순매수 포지션이 아니다. 이는 현금·캐리 트레이드라고도 불리는 베이시스 트레이드(basis trade)를 반영하는 전략으로,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따른 잠재적 수익과 리스크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최근 ETF 옵션이 승인된 만큼 방향성 헤지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플룸네트워크-브라질거래소, $4000만 RWA 토큰화 위해 파트너십 더블록에 따르면 플룸네트워크(Plume Network)가 4000만 달러 상당의 RWA(실물자산) 토큰화 계획과 관련해 브라질 암호화폐 거래소 메르카도 비트코인(Mercado Bitcoi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들은 브라질의 자산담보부증권(ABS), 소비자 크레딧(Consumer Credit), 기업 부채 및 미수금을 토큰화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메르카도 비트코인은 “플룸네트워크의 인프라 및 레이어1 블록체인을 활용해 이용자에게 브라질의 토큰화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파월 “은행의 합법적 암호화폐 고객 대상 서비스 제공, 막지 않을 것” 워처구루 X 계정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이 “연준은 은행이 합법적인 암호화폐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막지 않을 것이다. 크립토 활동의 많은 부분은 은행에서 충분히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BTC-e 설립자 석방 계획… 러시아 억류 미국인과 맞교환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러시아와의 맞교환 일환으로 러시아에 구금돼 있던 미국인 마크 포겔이 석방된 가운데, 40억 달러 규모 자금세탁 혐의로 폐쇄된 러시아 암호화폐 거래소 BTC-e 설립자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을 석방한다고 발표했다. 알렉산더 비닉은 2017년 그리스에서 체포돼 미국으로 송환됐으며 지난해 5월 자금세탁 혐의를 인정했다.
팬텀 “일시적 서비스 중단 현상 발생” 솔라나 기반 암호화폐 월렛 팬텀(Phantom)이 공식 X를 통해 “현지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파월 “트럼프 요청 있더라도 사임 않을 것”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이 있더라도 사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애널리스트 “바이낸스 자산 이동 주장? 이상 행동 없어” 크립토퀀트 수석 애널리스트 줄리오 모레노(Julio Moreno)가 X를 통해 “바이낸스가 자산을 이동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를 살펴봤지만, 바이낸스 준비금 데이터는 별다른 이상 행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달러 기준 BTC, ETH, USDT, USDC 준비금을 사상 최대에 가깝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비트코인 준비금 감소세는 다른 거래소와 비슷한 수준이다. 레버리지, 즉 준비금 대비 미결제약정 규모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위스 증권거래소 식스, 디지털 담보 서비스 출시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스위스 증권거래소 식스(SIX)가 암호화폐 및 전통자산을 위한 디지털 담보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금융기관은 이를 통해 기존 증권과 함께 암호화폐를 담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암호화폐 담보 관리를 위한 별도의 플랫폼이 필요하지 않아 운영상 복잡성이 줄어들고 리스크관리가 개선됐다는 설명이다.
스타크웨어 “zk렌드 취약점, 스타크넷과 관련 없어”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전날 스타크넷 상에 구축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zk렌드(ZEND)에 익스플로잇(취약점 노출) 피해가 발생했다. 보안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조사한 결과, 이번 익스플로잇은 스타크넷의 핵심 기술과 관련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스타크웨어 측은 “보안 팀이 해당 익스플로잇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지원하고 있으며, 가능한 경우 추가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zk렌드는 익스플로잇 피해를 입었다며 출금을 중단한 바 있으며, 보안업체 사이버얼럿은 zk렌드의 피해 규모를 약 950만 달러로 추산했다.
프랭클린템플턴, 솔라나에 뮤추얼펀드 토큰 BENJI 출시 글로벌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프랭클린템플턴(Franklin Templeton)이 공식 X를 통해 “솔라나(SOL) 체인 기반의 프랭클린 뮤추얼펀드(FOBXX) 토큰 BENJI를 출시했다”고 전했다.
前 페이팔 CEO “BTC, 유일한 중립적 인터넷 화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전 페이팔 최고경영자(CEO)이자 페이스북(현 메타)의 가상자산 프로젝트 ‘디엠(구 리브라)’을 이끌었던 데이비드 마커스(David Marcus)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중립적 인터넷 화폐의 유일한 형태”라고 말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출발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출발했다. S&P500: -0.97% 나스닥: -0.99% 다우: -0.94%
올해 BTC 트랜잭션 컨펌에 평균 19분…사상 최장 코인텔레그래프가 공식 X를 통해 “올해 들어 비트코인 확인 시간(confirmation times)이 트랜잭션당 19분 정도로 사상 최장 수준을 기록 중이다. 네트워크 혼잡과 블록 크기 제한, 수수료 역학관계 등으로 트랜잭션 처리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에이셔, 솔라나 기반 ATH 출시…”솔라나 네트워크로 확장 중” 탈중앙화 클라우드 GPU 네트워크 에이셔(ATH)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에이셔가 솔라나(SOL) 네트워크로 확장을 진행 중”이라고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에이셔 측은 “네이티브 토큰 ATH는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공식 출시됐으며, 추가적으로 아비트럼(ARB), 이더리움(ETH) 등에 걸쳐 옴니체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솔라나는 AI 에이전트, 게임, RWA, 디파이 등 다양한 분야에 탈중앙화된 개발자 커뮤니티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웹3 업계를 주도하는 생태계다. 이제 고객들은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에이셔 네트워크의 컴퓨팅 파워를 직접 구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OKX 월렛, 수이 네트워크 지원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X의 셀프 커스터디 월렛인 OKX 월렛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 네트워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아비트럼 개발사, 메인넷에 아비트럼 볼드 프로토콜 출시 언폴디드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레이어2 아비트럼(ARB) 개발사 오프체인랩스가 아비트럼 메인넷에 볼드(Bounded Liquidity Delay, BoLD) 프로토콜을 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BoLD는 체인에 대한 허가 없는 검증을 지원하는 옵티미스틱 롤업의 새로운 분쟁 프로토콜이다. 볼드 프로토콜은 아비트럼 체인의 기존 허가형 사기 방지 메커니즘을 대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게 오프체인랩스 측의 설명이다.
중아공 대통령 “밈코인 CAR, 중아공 공식 코인 맞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이하 중아공) 대통령 포스탱아르캉주 투아데라(Faustin-Archange Touadéra)이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밈코인 CAR은 중아공의 공식 코인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나의 X 계정은 해킹된 게 아니며, 이전에 업로드된 영상도 딥페이크 영상이 아니다. 밈코인 CAR 출시는 중아공의 기술 혁신, 블록체인 발전에 대한 나의 약속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분석 “美 주정부들 BTC 준비금 도입하면 $230억 상당 매수세 유입” 미국 자산운용사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리서치 책임자 매튜 시겔(Matthew Sigel)이 X를 통해 “미국 20개 주에서 발의된 비트코인 전략적 준비금 도입 법안을 분석했다. 법안이 시행되면 총 230억 달러, 약 247,000 BTC의 매수가 촉발될 수 있다. 이 금액은 연기금 투자와는 무관하며, 입법자들이 법안을 추진하면서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1월 미국 CPI, 전년比 3.0% 상승…예상치 상회 미국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3.0% 상승했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 2.9%를 상회했다. 전월 대비는 0.5% 상승했으며, 시장 전망치(0.3%)를 상회했다.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 시장 예상치인 0.3%를 상회했다.
분석 “ETH, 200일 이평선 탈환 실패 시 $2,400까지 하락 가능성”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포테이토가 “바이낸스 ETH/USDT 일봉차트 기준 ETH가 2,700 달러선과 나아가 200일 이동평균선까지 빠르게 회복하지 못한다면 다음 지지선은 2,400 달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크립토포테이토는 “4시간봉 차트 기준 ETH는 하락 채널 패턴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우하향하고 있다. 만약 하락 채널의 상단 저항선을 유효 돌파한다면 2,900 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DWF랩스, TON 디파이 프로토콜 비드애스크에 비공개 투자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DWF랩스가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생태계 프로토콜 비드애스크(Bidask)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비드애스크는 TON 기반 디파이 생태계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투자금은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바이낸스, 인호프와 파트너십…”아동 성적 학대 콘텐츠 퇴치” 바이낸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아동 성적 학대 콘텐츠(CSAM) 퇴치 목적 글로벌 네트워크 인호프(INHOP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바이낸스는 “인호프와의 협업을 통해 온라인 CSAM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CSAM 관련 불법 금융 거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또 전 세계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해 범죄 네트워크를 추적하고 해체시킬 것이다. 특히 탈중앙화 결제를 악용한 범죄 연루 금융 거래를 차단하기 위해 전문 기술 및 지식과 리소스를 관련 기관에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기준 금리 인하해야…관세 정책과 함께 진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금 전 트루스소셜에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기준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 곧 시행될 관세 정책과 함께 금리 인하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비트 CEO “PI 상장 안 할 것”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벤 저우(Ben Zhou)가 X를 통해 “오늘 많은 이용자들이 파이네트워크(PI) 상장을 요청했지만 터무니없는 소리 하지 말라고 했다. 암호화폐 업계에 일하면서 그런 일에 연루되고 싶지 않다. 거리를 두기 바란다”고 전했다.
외신 “월드리버티파이낸스, ‘탈중앙화’라면서 트럼프 관련 엔티티로 수익 75% 공유” 코인텔레그래프가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은 ‘탈중앙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프로토콜 수익의 75%가 트럼프 관련 엔티티로 흘러가는 수익 모델을 갖추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는 디파이 혁명이라기보다 정치적인 요소를 브랜딩에 활용한 프로젝트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코인텔레그래프는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의 핵심 기능인 대출 기능은 아베(Aave) v3에 의존하고 있다. 이미 디파이 업계에 존재하는 것 이상의 혁신은 없다. 거버넌스 투표용으로만 사용 가능한 양도 불가능 토큰 WLFI는 차별화되지만, 프로토콜 순수익의 75%가 트럼프 관련 엔티티로 보내지는 ‘중앙집중형 수익 분배 모델’은 확실히 의심스럽다”고 설명했다.
캐시 우드 “BTC, 2030년까지 $150만 가능” 암호화폐 투자사 겸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아크인베스트먼트의 최고경영자(CEO) ‘돈 나무 언니’ 캐시 우드(Cathie Wood)가 아크인베스트의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비트코인은 2030년까지 150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트코인은 새로운 자산군으로 제도권에 들어오고 있으며, 다소 높은 전망치일 수도 있는 우리의 150만 달러 전망이 올바른 숫자가 될 확률이 높아졌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캐시 우드는 지난해 12월 CNBC와의 인터뷰에서 “2030년 이전 비트코인은 60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며, 보다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따를 시 150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비트와이즈 CIO “암호화폐 개인 투자자 투심 악화, 알트시즌 머지 않아”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이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들과 달리 개인 투자자들의 투심이 악화되고 있다. 개인적 관점에서 이는 항상 기회를 의미하곤 했다. 알트코인 강세장을 뜻하는 ‘알트시즌’도 머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늘날 암호화폐 시장에는 기관 투자자들과 개인 투자자들의 투심이 첨예하게 갈리는 이원화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기관 투자자들은 상당히 낙관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을 바라보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알트코인 약세가 길어지자 급속도로 투심이 악화되고 있다. 보통은 기관 투자자가 정답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암호화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1~2년 내로 알트코인 시장 상황이 호전될 것이라고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주기영 “암호화폐 거래소 일일 거래량, 5년 동안 425배 증가” 블록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 CEO 주기영이 X를 통해 “전체 암호화폐 거래소의 일일 거래량이 5년 동안 425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최근 전체 암호화폐 거래소의 일일 거래량은 1,600억 달러에서 2,400억 달러 상당을 기록 중이다.
분석 “BTC, $92,000 지지선 붕괴 시 급락 가능성” 암호화폐 옵션 전문 분석 업체 그릭스닷라이브(Greeks.live) 매크로 연구원 애덤(Adam)이 X를 통해 “트레이더들이 롱 포지션을 청산하고, 약세 전환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확산되면서 비트코인은 단기적인 하락 장세가 연출되고 있다. 주요 지지선은 지난밤 한 차례 테스트했던 95,000 달러선이며, 중요 지지 구간인 92,000~94,000 달러가 무너지면 ‘대규모 매도’가 촉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현재 비트코인 옵션 시장은 단기 약세 관점이 우세한 상황이며, 거래량 감소와 가격 변동성 축소로 거래하기 쉬운 환경은 아니다. 다만 현재 가격대에서 98,000 달러까지 900 BTC에 달하는 대규모 매수 주문이 쌓여있어, 가파른 회복세에 대한 기대감도 혼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비트코인 오디널스·BRC-20 등 트랜잭션 비중 감소 추세”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X를 통해 “2월 6일(현지시간) 기준 오디널스, 룬 프로토콜, BRC-20 관련 트랜잭션은 비트코인의 일일 트랜잭션의 약 3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1일부터 올해 2월 5일까지 오디널스, 룬 프로토콜, BRC-20 관련 트랜잭션의 7일 이동평균은 73% 감소한 반면, 표준 금융 관련 트랜잭션(Financial Transaction)은 16% 감소하는 데 그쳤다”고 전했다.
FB 기자 “美 SEC, 이르면 내일 그레이스케일 XRP 현물 ETF 승인 가능”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이 X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만약 XRP 현물 ETF를 승인하기로 결정한다면, 이르면 2월 13일(현지시간) 승인 발표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EC가 일반적으로 심사요청서(19b-4)를 승인하는 데 약 15일이 걸리며, 그레이스케일은 1월 30일 XRP 신탁 상품의 현물 ETF 전환을 SEC에 신청한 바 있다. 승인과 반려 어느 쪽이든 현재 SEC가 리플에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앤서니 스카라무치 “솔라나, 주식·채권 토큰화에 유리” 미국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털(SkyBridge Capital) 설립자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가 최근 CNBC 스쿼크박스 인터뷰에서 “주식과 채권을 토큰화하게 된다면 솔라나(SOL)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더리움(ETH)은 비교적 소량 보유하고 있다. 솔라나는 낮은 트랜잭션 수수료와 빠른 속도가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외신 “파이네트워크, 주요 거래소 상장에도 피라미드식 채굴 방식 논란” 비인크립토가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파이네트워크(PI)가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되는 가운데 네트워크의 피라미드식 채굴 시스템, 가치 부족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파이네트워크는 휴대폰을 통한 채굴을 지원하는 등 진입 장벽이 낮지만, 채굴 속도를 높이려면 타 이용자를 추천해야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피라미드 사기 관련 엄격한 규제가 있는 지역에서는 파이네트워크 상장이 법적 규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사기 구조는 아니라는 반박도 나오고 있다. 파이네트워크는 테스트넷→폐쇄형 메인넷→오픈 메인넷의 독특한 단계를 따르고 있으며, 오는 20일 17시(한국시간) 오픈 네트워크를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OKX, 비트겟 등 거래소는 PI를 상장한다고 앞서 공지했다.
리플·갤럭시디지털, 밈코인 TRUMP 출시 직후 문페이에 $1.6억 대출 리플과 갤럭시디지털이 지난 1월 1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식 밈코인 출시 수요를 처리하는 데 중심 역할을 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트럼프의 밈코인 TRUMP의 출시 시점은 주말로, 암호화폐 결제업체 문페이가 법정화폐 계좌를 활용할 수 없었다. TRUMP는 출시 후 이틀 동안 200억 달러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는 등 높은 수요가 나타났다. 이에 문페이 측은 갤럭시디지털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에 연락해 각각 1억 달러, 6,000만 달러를 대출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페이는 “유동성 확보 후 1월 21일에 대출을 전액 상환했으며, 당시 75만명의 신규 이용자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바이비트, B3 무기한 선물 상장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B3/USDT 무기한 선물 거래 페어를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최대 50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샌티멘트 “커뮤니티, 밈코인→비트코인 및 레이어1으로 관심 이동”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X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자 커뮤니티의 관심이 밈코인에서 비트코인 및 레이어1 블록체인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샌티멘트는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도지코인(DOGE), 시바이누(SHIB), 페페(PEPE) 등 밈코인과 관련된 논의와 포스팅 업로드 빈도는 줄어들고 있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디오픈네트워크(TON), 카르다노(ADA, 에이다) 관련 토론은 늘어나고 있다. 밈코인은 근본적인 가치보다 과장광고, 바이럴 마케팅, 도박 요소 등을 통한 투기적 열풍을 불러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밈코인 시장에 관심이 쏠린다는 것은 트레이더들이 장기적 관점보다 단기적 이익을 쫓고 있으며, 이는 시장이 과도한 탐욕 단계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 밈코인 열기가 식고 비트코인과 레이어1이 관심받고 있다는 것은 암호화폐 시장이 보다 건전한 사이클로 돌아왔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바이비트, BILLY 무기한 선물 상장 폐지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2월 19일 19시(한국시간) BILLY/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유엑스링크, 컨센서스 홍콩 공동 주관사 참여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X를 통해 컨센서스 홍콩의 공동 주관사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인공지능(AI) 및 웹3 통합 소셜 메타버스 프로젝트 MEET48이 메인 주관사로 나선다.
바이비트, AVL 현물 상장…최고 1.54 달러 터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가 방금 전 세계 최대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a 발행사 아발론랩스(Avalon Labs)의 AVL 토큰을 USDT 현물 마켓에 상장했다. 바이비트 USDT 마켓 기준 AVL은 최고 1.5476 달러를 터치한 뒤 현재 약 1.3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비트, NYAN 무기한 선물 상장 폐지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2월 19일 19시(한국시간) NYAN/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美 상장사 셈러사이언티픽 회장, SNS서 ‘토큰 출시’ 언급…X 해킹 정황 나스닥 상장 의료기술업체 셈러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나스닥 티커: SMLR)의 회장 에릭 셈러(Eric Semler)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솔라나(SOL) 네트워크에서 자체 토큰 SMLR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셈러사이언티픽은 꾸준히 비트코인을 매수하며 비트코인 친화적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솔라나 기반 밈코인을 출시한다는 에릭 셈러 회장의 트윗에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계정 해킹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검찰, ‘사기 가상화폐’로 50억 원대 투자사기 벌인 업체 대표 기소 MBC에 따르면, 수원지검 성남지청이 투자자 수십명을 상대로 50억원대 암호화폐 투자사기를 벌인 혐의로 코인 발행업체 대표와 임원 3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2018년 2월부터 1년 반동안 사기 암호화폐를 발행, “1천조 원 이상 자산을 보증한다”거나 “사우디 왕가도 투자했다”고 속여 45명으로부터 57억 원을 받아 챙긴 혐의로 기소됐다. 또 코인 판매대금 152억 원을 담보도 없이 다른 회사에 빌려줘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도 받고 있다.
썬더코어, PoS 스테이커 대상 PI 토큰 에어드롭 예고 썬더코어(TT)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월 12일 20시부터 2월 21일 9시까지 썬더코어 PoS 스테이킹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파이네트워크(PI)의 PI 토큰을 에어드롭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에어드롭 대상자를 결정할 스냅샷은 무작위로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분석 “달러인덱스 하방 열려…BTC 등 위험자산 상승 가능성”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거래 업체 QCP캐피털이 공식 텔레그램을 통해 “달러인덱스(DXY)가 하방 리스크에 직면한 것으로 보인다. 달러인덱스가 하락할 경우 공매수 포지션이 한꺼번에 청산되면서 낙폭이 가파르게 커질 수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등 위험자산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QCP캐피털은 “오늘 22시 30분(한국시간) 발표되는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달러인덱스의 급격한 하락을 촉발할 수 있다. 다만 비트코인은 현재 미국 주식, 금보다 가격 상승폭이 낮은 상황이다. 암호화폐 커뮤니티 내에서도 투심이 긍정적이지 않다. 암호화폐 시장에는 매주 수많은 신규 상장 종목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여전히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이고, 지난 주 대규모 청산으로 많은 트레이더들이 사라졌다. 아직까지 매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면 기관 흐름을 따라 하방 보호(downside protection)를 고려해 매수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시키글로벌, 트래블룰 솔루션 CODE 합류…코인원서 출금 지원 코인원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트래블룰 솔루션 코드(CODE)에 신규 가상자산사업자(VASP)로 해시키글로벌(Hashkey Global)이 추가됐다고 12일 공지했다. 이에 따라 코인원은 2월 12일 19시부터 별도의 외부지갑 출금주소 등록(화이트리스팅) 과정 없이 해시키글로벌로의 100만 원 이상 출금을 지원한다. 다만 코인원에서 해시키글로벌로 100만 원 이상 출금할 경우 수취인 정보 입력 시 수취인의 이름이 코인원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름과 동일해야 한다. 한편 해시키글로벌은 버뮤다에 등록된 규제 준수 거래소로, 현지 트래블룰을 따르고 있다.
비트겟, 20일 17시 PI 현물 상장 비트겟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2월 20일 17시(한국시간) 이노베이션, 웹3&퍼블릭체인 존(Innovation, Web3 and Public Chain Zone)에 파이네트워크(PI)/USDT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BTC, $97,200 온체인 저항선 존재”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X를 통해 “비트코인은 97,200 달러 부근에 온체인 저항선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인투더블록은 “온체인 데이터 기준 과거 약 160만 개 비트코인 주소가 평균 매수 단가 97,200 달러 부근에 157만 BTC를 취득했다. 현재 손실 상태에 놓인 해당 주소들은 시장 불확실성 속 손익분기점(97,200 달러) 부근에서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BTC, 美 CPI 발표 후 변동성 확대 전망…하락해도 강세 반전 가능” 온체인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 공동 설립자 얀 하펠과 얀 알레만의 X 계정 네겐트로픽(Negentropic)이 “오늘 22시 30분(한국시간) 발표되는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에 변동성을 가져올 것이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을 벗어난 수치는 시장을 흔들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비트코인은 95,000 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지만, 유동성 확보를 위해 92,000~94,000 달러 구간까지 하락할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더라도 강세 반전이 나타나 강세 회복의 핵심 구간인 97,000~98,500 달러로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0.45% 오른 96,213.4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카브, 데이터 인증 프레임워크 업그레이드…딥시크 도입 게임 및 인공지능(AI) 중점 모듈화 데이터 레이어 카브(CARV)가 공식 채널을 통해 D.A.T.A.(데이터 인증·신뢰·증명) 프레임워크를 업그레이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딥시크의 고급 추론 모델, CARV ID(ERC-7231 표준), 토큰 기반 행위 지능을 도입, 인공지능(AI) 에이전트의 검증 가능한 데이터 처리와 금융 거래 실행, 탈중앙화 생태계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한다. 카브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카이 투(Yukai Tu)는 “D.A.T.A. 프레임워크 2.0이 도입돼 AI 에이전트는 기존의 단순한 반응형 툴을 넘어서 탈중앙화 환경의 능동적인 참여자로 기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카브는 AI 에이전트가 높은 자율성 및 보안성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특징인 D.A.T.A. 프레임워크 출시를 발표한 바 있다.
유럽 거래소 비트판다, 영국 금융당국서 라이선스 취득…현지 사업 확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유럽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판다(Bitpanda)가 영국 금융감독청(FCA)으로부터 규제 라이선스를 취득, 현지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또 스테이킹, 세이빙 플랜, 암호화폐 지수 등 서비스도 제공될 예정이다. 비트판다는 지난 1월 23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의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 라이선스를 취득한 바 있다.
비트겟, LIT→HEI 스왑 및 리브랜딩 지원…13일 17시 상장 비트겟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리텐트리(LIT)의 토큰 스왑 및 헤이마(HEI)로의 리브랜딩을 완료했으며, 오는 13일 17시(한국시간) HEI를 상장하고 입출금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기존 1 LIT는 1 HEI로 스왑됐으며, LIT는 현 시간부로 입출금이 지원되지 않는다.
유엑스링크, AI 활용 추진…확장성 개선 목표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인공지능(AI)과의 융합을 통해 암호화폐 생태계 성장을 촉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UXLINK의 방대한 사용자 기반, 첨단 인프라, 소셜 중심 접근 방식에 AI를 통합해 파트너와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확장을 지원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UXLINK는 △4000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 및 1000만 명 이상의 UXUY 보유자(활성 기여자) 등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 △원체인 및 OAOG 프로토콜 기반의 원활한 AI 통합 △AI 기반 최적화 추천 등을 통한 사용자 확장 △딥시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등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크립토닷컴, 유럽 미카법 정식 라이선스 획득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이 X를 통해 “유럽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를 준수하는 암호화폐 라이선스를 정식 승인받았다. 이에 따라 유럽경제지역(EEA) 회원국 모두에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크립토닷컴은 지난달 해당 라이선스의 원칙적 승인을 획득한 바 있다.
바이비트, VELA·MCG·CAT·CBX·FB 상폐 바이비트가 오는 18일 17시(한국시간) VELA, MCG, CAT, CBX, FB를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보안업체 “zk렌드 해킹 피해 $950만 추정” 블록체인 보안업체 사이버얼럿이 X를 통해 “익스플로잇(취약점 노출) 피해를 입은 zk렌드(ZEND)의 피해 규모가 약 950만 달러 수준인 것으로 추산된다. 해커는 레일건을 통해 자금세탁을 시도했으나, 레일건 정책에 따라 해당 자금은 송금 주소(해커 소유)로 반환됐다”고 전했다. 앞서 zk렌드는 익스플로잇 피해를 입었다며 출금을 중단한 바 있다.
도요타 파이낸스, 블록체인 기반 증권형 토큰 채권 발행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도요타 파이낸스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증권형 토큰 채권(ST채권)을 오는 3월 3일(현지시간) 발행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미쓰비시 UFJ, 야마토증권, 프로그맷 등과 협력한다.
해시키글로벌, KCS 상장…런치풀 진행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이 쿠코인토큰(KCS)을 22번째 런치풀 프로젝트로 선정하고 오는 14일 17시(한국시간) 토큰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사용자는 14일 17시부터 같은달 17일 17시까지 HSK 또는 KCS를 예치해 런치풀 보상을 파밍할 수 있다. 이번 런치풀에는 7,000 KCS가 보상으로 할당됐다. 이밖에 이벤트 기간 동안 다른 사용자를 런치풀에 초대하면 200 KCS를 추가 보상으로 제공한다. 현재 해시키글로벌 지정 거래 페어 0% 수수료 이벤트도 진행 중이며, 사용자는 거래시 수수료가 면제된다.
아발론랩스, 美 SEC에 비트코인 기반 채권형 공모펀드 출시 신청 검토 세계 최대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a 발행사 아발론랩스(Avalon Labs, AVL)가 공식 채널을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업계 최초 비트코인 기반 채권형 공모펀드 출시 신청 가능성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아발론랩스 관계자는 “아발론랩스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은 지난 2021년 SEC의 승인을 받아 성공적으로 미국 달러 표시 채권형 공모펀드를 출시한 경험이 있다. 이후 팀은 수년간 암호화폐 기업이 공모펀드를 발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왔다. 아발론랩스는 미국 최고의 로펌과 협력해 비트코인 기반 채권형 공모펀드 관련 규제 프레임워크를 분석하고 제출이 필요한 자료 및 서류를 준비할 계획이다. 펀드 출시에 성공한다면 이는 비트코인 금융 상품이 전통 금융 시장에 진출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