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미국 20개 주가 비트코인(BTC) 준비금을 도입하는 법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최대 230억 달러(약 33조 3,500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 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의 연구 책임자인 매튜 시겔은 최근 공개한 분석에서 20개 주에서 추진 중인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시행될 경우, 각 주 정부가 총 24만 7,000 BTC를 매입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여기에 연금 기금까지 비트코인을 포함할 경우 수요는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시겔은 이 수치가 보수적으로 산정된 것이라며, 일부 주에서는 구매 규모가 명확히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수요는 더 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트코인을 전략적 보유 자산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은 주 정부뿐만 아니라 연방 정부 차원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 준비금 도입 방안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으며, 일각에서는 이 계획이 미국 정부의 국부 펀드 설립과도 연계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데이터 제공업체 비트코인트레저리스(BitcoinTreasuries)에 따르면, 현재 150곳 이상의 기업이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특정 국부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며, 이를 통해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할 가능성도 제기된 바 있다.
뉴욕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외에도 USD코인(USDC), 솔라나(SOL), XRP 등 여러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준비금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예측 시장 칼시(Kalshi)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안에 국가 비트코인 준비금을 조성할 확률을 52%로 평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내 비트코인 보유가 확대될 경우, 이는 올해 승인된 비트코인 현물 ETF보다 더 큰 파급 효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자산운용사 코인셰어스(CoinShares)는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현실화된다면 이는 비트코인의 제도적 채택에 있어 ETF 승인보다 훨씬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장기적인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