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드오픈리서치, ‘한국 가상자산 투자자 그들은 누구인가?’ 서베이 보고서 발간

출처: 토큰포스트

가상자산 투자가 대중화되며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은 현재 가상자산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가상자산 보유율 25%는 미국(19%)보다 높다.

12일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싱크탱크 해시드오픈리서치(HOR)는 ‘한국 가상자산 투자자 그들은 누구인가?’ 설문 조사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분석했다. HOR은 20대에서 60대 성인 인터넷 사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를 통해 1인 당 가상자산 보유 규모 및 투자 이유, 향후 투자를 늘릴지 여부, 이용 중인 국내·외 거래소 및 예치 규모, 탈중앙화거래소(DEX) 이용 여부, 가상자산 보관 방식 등을 확인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25%(507명) 가 현재 가상자산에 투자 중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미국 성인의 19%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보다 높은 수준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자산 투자의 경우 30대가 54.0%의 투자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는 43.0%, 20대는 38.8%로 집계됐다. 비교적 높은 연령대인 50대의 경우에도 33.2%로 20대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60대도 19.0%가 가상자산 투자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현재 보유 중인 가상자산 규모는 100만 원 이상~5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25%로 가장 높았다. 50만 원 미만 보유자는 20.5%, 500만 원 이상~1천 만원 미만 보유자와 1천만 원 이상~5천만 원 미만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은 각각 15.2%, 16.6%로 집계됐다. 1억 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3.6%였다.

또한 “현재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진 않지만 향후 투자할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 중 11.4%로 집계됐다.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가 안정되고 투자할 수 있는 여유 자금도 상대적으로 많은 40~60대의 경우가 많았다. 향후 전 연령대에서 가상자산 투자가 더 대중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HOR은 설명했다.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라고 응답한 507명 중 123명(24.5%)은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또는 탈중앙화거래소(DEX)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이들이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나 DEX에 보유 중인 가상자산 규모도 적지 않았으며 응답자 중 54%는 보유한 가상자산의 20% 이상을 해외 거래소나 DEX에 예치하고 있었다. 특히 1억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응답자 8명 중 5명은 자산의 50% 이상을 해외 거래소 또는 DEX에 예치한다고 응답했다.

HOR은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진입 장벽이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낮고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가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가상자산 투자자 과반수(51%)는 단기적으로 다른 자산대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주변인의 추천(47%), 입출금의 편리함(39%), 24시간 거래 가능(23%) 등 높은 수익률과 잘 조성된 투자 환경 등도 투자 이유로 들었다.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주요 투자 재원은 여유 자금(64%)과 근로소득(57%)이었다.

HOR 관계자는 “가상자산 투자가 대중화되고 투자 저변이 확대되는 것은 본 보고서 결과로도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보인다”며 “해외 여러 국가들이 가상자산을 제도화하는 추세를 따라 우리나라도 가상자산을 빠르게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 조사는 오픈 설문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됐다. 패널의 연령 구성은 2024년 통계청 자료를 따랐으며, 표본오차는 ±2.19%p, 신뢰 수준은 95%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