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이번 주 토큰 언락 일정…$8020만 SAND 등 토크노미스트(Tokenomist)에 따르면, 이번 주(2/10~2/16)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CHEEL: 2/13 04:00, 약 2080만개 언락, $1.69억 CONX: 2/15 09:00, 약 433만개 언락, $8780만, 총 유통량의 376.3% SAND: 2/14 09:00, 약 2.0559억개 언락, $8020만, 총 유통량의 8.41% BERA: 2/10 10:00, 약 1298만개 언락, $7590만, 총 유통량의 12.08% APT: 2/10 09:00, 약 1131만개 언락, $6670만, 총 유통량의 1.97% AVAX: 2/16 09:00, 약 167만개 언락, $4170만, 총 유통량의 0.40% ZKJ: 2/12 09:00, 약 1722만개 언락, $3510만, 총 유통량의 28.52% ATH: 2/12 07:00, 약 6.3억개 언락, $2450만, 총 유통량의 10.21% STRK: 2/15 09:00, 약 6400만개 언락, $1570만, 총 유통량의 2.48% SEI: 2/15 09:00, 약 5556만개 언락, $1270만, 총 유통량의 1.25%
펌프닷펀 설립자 “밈코인 때문에 알트코인 시즌 안 온다? 어불성설”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의 공동 설립자 앨런 코헨은 펌프닷펀 때문에 알트코인 시즌이 안 왔다는 주장에 대해 “대다수 알트코인이 가치적으로 밈코인과 동일한 가치 제안(소비자나 사용자가 해당 제품, 서비스, 프로젝트에서 얻을 수 있는 핵심 가치나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유통량이 적고, 완전희석 시가총액이 높으며, VC(벤처캐피털)들이 개입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VC들은 개인 투자자들을 유동성 출구로 활용하는 것으로 악명 높다”고 반박했다. 이어 “일상적인 직업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술에 관심이 없고 개인적 성취에만 관심이 있으며 즐거움을 누리면서 트레이딩으로 적당한 돈을 벌고 싶어한다”고 덧붙였다.
자오창펑 “밈코인 산 적 없다…TST 상장 이유 몰라” 자오창펑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는 지금까지 밈코인을 한 번도 산 적 없다고 밝혔다. BTC와 BNB만 보유 중이며, 그렇다고 해서 밈코인에 관심이 없는 건 아니라고 덧붙였다. BNB 체인 기반 밈코인 TST가 바이낸스에 상장된 이유에 대해서는 “나도 모르겠다. 나는 상장 과정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마이클 세일러, BTC 추매 암시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설립자가 전날 밤 BTC 매수를 암시하는 세일러 트래커 차트를 게시했다. 스트래티지는 일주일 간 BTC 매수 중단했었다.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모든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61.4% “BTC 조정 단기적, 곧 회복 전망”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9.2%(전주 42.6%)가 다음 주 비트코인이 상승 혹은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횡보를 예상한 응답자는 37.2%(전주 40.3%), 하락과 급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23.6%(전주 17.1%)를 차지했다. 시장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45.2%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혹은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30.1%, 공포 혹은 극단적 공포라고 답한 비중은 24.7%로 집계됐다. 최근 미국발 관세 전쟁 격화에 BTC 가격이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응답자 중 가장 많은 61.4%는 “이번 하락은 단기적인 조정일 뿐, 곧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17.7%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며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답했고, 나머지 7.5%는 “관세 전쟁과 비트코인 가격은 직접적 연관성이 없다”고 말했다.
XRP렛저, 신원인증 기능 추가 예정 리플X 수석 소프트웨어 개발자 마유카 바다리는 XRP렛저(XRPL) 체인에 신원인증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탈중앙성을 지키면서 KYC(고객확인), AML(자금세탁방지)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기능 도입 안건은 현재 투표에 부쳐졌다.
TST 시총 $8700만 돌파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가 샤라웃한 BNB 체인 기반 밈코인 테스트(TST) 시가총액이 87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오늘 바이낸스 알파에 TST가 추가되면서 TST는 1시간 동안 30%, 24시간 동안 226% 가량 급등했다.
이더리움, 1개월 전 대비 초당 20% 더 많은 거래 처리 블록체인 엔지니어 부슈트(Bouchut)는 “이번 주 이더리움 레이어1 확장에 있어 작은 성과가 있었다. 가스 한도가 3000만에서 3600만으로 늘어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이제 1개월 전보다 초당 20%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L1 수수료도 10~30% 감소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를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가 리포스트했다.
바이낸스 알파, TST 추가 바이낸스 알파에 TST가 추가됐다. 바이낸스 알파 대상 토큰은 초기 프로젝트 중 커뮤니티, 시장 트렌드 등을 반영해 선정된다. 추후 상장이 100% 보장되는 건 아니다. 바이낸스 전 최고경영자(CEO) 자오창펑은 BNB 체인 팀원이 밈 코인 발행 플랫폼에서 밈 토큰 출시를 위한 교육 차원에서 TST를 발행했다고 전한 바 있다.
카니예 웨스트 “코인 발행하는 일 없을 것” 미국 래퍼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가 코인을 발행하는 일은 없을 거라고 포스트했다. 앞서 카니예는 스캠 코인 발행 대가로 200만 달러를 준다는 제안을 받았다고 전한 바 있다.
플랜비 “앞으로 9개월 더 상승장 지속”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는 “과거 비트코인 수익은 반감기 전 6개월~반감기 후 18개월에 걸쳐 발생했다. 이 데이터에 입각해 앞으로 9월(2월~10월) 동안 상승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포스트했다.
분석 “암호화폐 강세장 안 끝났다” 아크인베스트 암호화폐 총괄 출신이자 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털 플레이스홀더 매니징 파트너인 크리스 버니스케(Chris Burniske)는 “암호화폐 강세장은 끝나지 않았다. 강세장 중반에 나타나는 하락이라고 생각한다. 2021년 4,5,6월에도 비트코인과 메이저 알트코인이 50~80% 폭락했던 적이 있었다”고 포스트했다.
분석 “BTC 주봉 $93,000 수성 필요” 비트겟 리서치 수석 분석가 라이언 리는 비트코인이 93000 달러 위에서 주봉 마감해야 단기적으로 90500 달러 밑으로 떨어지는 걸 피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이 93000 달러를 하회할 경우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약 13억 달러 상당 롱 포지션이 청산된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무역전쟁 긴장이 고조되면 단기적으로 9만 달러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프랙스 파이낸스, 신규 스테이블코인 frxUSD·sfrxUSD 출시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프랙스 파이낸스(Frax Finance)가 X를 통해 “블랙록, 슈퍼스테이트와의 제휴를 통해 새로운 플래그십 스테이블코인 frxUSD과 이자 수익 창출(savings yield) 스테이블코인 sfrxUSD를 출시했다”고 8일 발표혔다. 이와 관련 프랙스 파이낸스는 “frxUSD는 발행과 커스터디가 분리돼 있는 최초의 스테이블코인으로, sfrxUSD를 통해 높은 온체인 이자율을 제공받으면서 현금으로 발행과 상환이 가능하다. 기존 FRAX 보유자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언제나 1:1 비율로 frxUSD와 스왑할 수 있다. 나아가 frxUSD는 ‘멀티체인 머니’를 통해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RWA 시장, 올해 폭발적 성장 이룰 것”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오라클 솔루션 레드스톤 공동 창립자 마르신 카즈미에자크(Marcin Kazmierczak)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비트코인의 불안정한 가격 움직임 지속되고 있지만, 기관 채택이 증가하고 전통 금융시장에서 블록체인 인프라가 확대됨에 따라 RWA(실물자산) 생태계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전통 금융 시장은 450조 달러 규모로, 기관 투자자들은 이 중 100조 달러를 운용하고 있다. 올해 450조 달러 중 1~2%만이 RWA 생태계로 유입된다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콩 정부, 투자 이민 심사에 BTC·ETH 포함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홍콩 정부가 투자 이민 신청 과정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자산 증명 수단으로 처음 인정했다. 3000만 홍콩 달러(한화 약 56억원) 이상의 암호화폐 자산을 보유한 이민자는 해당 자산을 콜드 월렛이나 바이낸스와 같은 주류 거래소에 예치해야 한다.
크립토퀀트 CEO “선택적 알트코인 시즌 도래…스테이블코인·밈코인 등” 주기영 크립토퀀트 CEO가 X를 통해 “선택적 알트코인 시즌이 도래했다. 현재 BTC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알트코인은 손에 꼽는다. 현재 이더리움(ETH)과 같은 인프라 코인들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제도적으로 채택을 받은 코인, 스테이블코인, 밈코인은 시장에서 살아남았다”고 전했다.
FTX 채권자 대표 “$5만 미만 채권자 대상 클레임 이메일 발송”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최대 채권자 그룹 대표 수닐 카부리(Sunil Kavuri)가 X를 통해 “FTX 채권자 상환과 관련해 5만 달러 미만의 채권자들에게 클레임(청구) 이메일을 발송했다. 현재 KYC 인증을 완료하지 않은 채권자(5만 달러 미만) 금액은 3억 4500만 달러”라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FTT는 현재 0.26% 내린 1.9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분석 “BTC 매수 타이밍 오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가 크립토퀀트 데이터를 인용해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수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BTC 온체인 트레이더들이 12% 손실을 보고 있을 때다. 데이터에 따르면 BTC 가격 97,300 달러 기준 온체인 트레이더들은 현재 0.21%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만약 해당 가격대에서 BTC가 한번 더 크게 하락한다면 좋은 매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日 SBI홀딩스, 암호화폐 사업에서 사상 최대 수익 기록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소프트뱅크 산하의 금융지주사 SBI홀딩스가 7일(현지시간) 2025년 3월에 종료되는 2024 회계연도의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암호화폐 부문에서 사상 최대 수익을 기록했다. 암호화폐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03.5% 증가한 약 628억엔(한화 약 6039억원), 세전 이익은 787% 증가해 약 181억 엔(한화 약 1740억원)을 달성했다.
전날 美 ETH 현물 ETF 순유출입 無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서 순유출입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블랙록 ETHA를 비롯한 모든 ETF의 순유출입이 0으로 나타났다.
중앙화 거래소서 $2500만 UNI 출금…2021년 이후 최대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X를 통해 “이번주 중앙화 거래소(CEX)에서 2500만 달러 상당의 UNI가 출금됐다. 이는 2021년 이후 최대 출금액”이라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UNI는 현재 1.3% 내린 8.8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베이스, 뉴욕서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 직면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법원이 코인베이스가 브로커-딜러로 등록하지 않고 79개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판매했다는 원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코인베이스 사용자들이 거래한 토큰과 관련 연방 증권법에 따른 ‘법적 판매자’가 아니라고 명시한 코인베이스의 주장을 기각한 것이다. 앞서 코인베이스 고객들은 ‘코인베이스가 미등록 증권을 판매했고, 규제 당국에 브로커·딜러로 등록하지 못해 고객에게 피해를 끼쳤다’며 집단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분석 “개인 투자자 관심 저조…알트코인 손실 영향” 코인텔레그래프가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현재 암호화폐 시장의 전문 투자자들(기관 투자자)은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 전망에 대해 낙관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수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투자 성향과도 연결되는데, 개인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포트폴리오는 많은 알트코인과 밈코인 등으로 구성돼있다.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관세 부과 움직임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 역사상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청산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시가총액 기준 3대 밈코인은 20% 이상 하락하고 대다수 알트코인들 역시 급락을 맞았다.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 및 투심이 악화되면서 공포·탐욕 지수는 최근 44포인트(공포 단계)를 기록하기도 했었다”고 분석했다.
전날 美 BTC 현물 ETF 2490억원 순유입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미국 BTC 현물 ETF에 1.71억 달러(한화 약 2490억원)가 순유입됐다. 하루 만에 다시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블랙록 IBIT에 2190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 5250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 5900만 달러, 반에크 HODL에 2180만 달러가 유입됐다. 순유출을 보인 ETF는 없었다.
美 PNC 은행, 비트와이즈 BITB $6700만 보유 중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미국 내 자산 규모 9위 은행인 PNC가 13F 보고서(증권 보유 현황)를 통해 6700만 달러 규모 비트와이즈 현물 ETF(BITB)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직전 보고 당시(1000만 달러)보다 570% 늘어난 수치다.
나이지리아, 적격 스테이블코인 cNGN 출시 비트코인닷컴이 X를 통해 “나이지리아가 적격 스테이블코인 cNGN을 출시했다. 현재 두 개의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SEC의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라고 설명했다.
카니예 웨스트 “스캠 코인 발행 대가로 $200만 지급 제안 받아”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래퍼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가 “스캠 코인을 발행하면 200만 달러를 준다는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 카니예는 “익명의 연락처로부터 메시지를 받았으며, 커뮤니티를 대상으로하는 스캠 코인을 발행하는 대가로 200만 달러를 제안받았다. 나는 해당 제안을 거절했다”고 설명했다. 탈중앙화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에서는 웨스트가 토큰을 출시할 확률이 46%까지 일시적으로 치솟았다가 30%미만으로 유지됐다.
비트디지털, 지난 1월 28 BTC 채굴 미국 비트코인 채굴 기업 비트디지털(Bit Digital)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1월 총 28.7 BTC를 채굴했다고 밝혔다. 전월 대비 11.4% 감소한 수치다. 2025년 1월 31일 기준 비트디지털은 768.7 BTC와 27,689.6 ETH를 보유 중이다.
분석 “텔레그램 게임 사용자 감소…에어드롭 결과에 실망한 탓 ” 더블록에 따르면 온체인 및 소셜 분석 업체 헬리카(Helika)가 최근 보고서에서 “작년 4분기, 텔레그램 게임 사용자 유지율이 전통적인 게임 벤치마크인 20~30%보다 훨씬 낮은 5~20%를 맴돌았다”고 전했다. 헬리카는 “이러한 현상은 특히 톤 기반 탭 투언 게임 프로젝트 햄스터컴뱃(Hamster Kombat)의 실망스러운 에어드롭이 원인으로 보인다. 탭 투언 열풍은 지난 3분기에 정점에 도달한 후, 실망스러운 에어드롭 결과물에 직면하고 트래픽과 참여자 수가 급격히 줄어들며 성장이 멈춘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손쉬운 에어드롭 방식이라는 매력이 사라지면서 유사한 프로젝트의 DAU와 MAU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전체 생태계 활동도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29…전일比 3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한국시간 9시 30분 기준 전일보다 3포인트 하락한 29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4…공포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과 동일한 44를 기록했다. 공포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나이지리아, 대대적 암호화폐 범죄 조직 단속…53명 기소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의 법 집행 기관인 경제 및 금융 범죄 위원회(EFCC)가 대대적인 암호화폐 범죄 조직 단속을 진행했으며, 53명이 공식적으로 기소됐다. 피의자들은 작년 12월 739명의 조직원과 함께 체포됐으며, 사이버 범죄, 사이버 테러, 사칭, 허위 사실이 포함된 문서 소지, 신원 도용 등과 같은 혐의를 받는다. 법 집행 기관은 20만 달러 상당의 자산을 압수하는데 성공했으나, 범죄 조직이 3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중인 것으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데이터 “하이퍼리퀴드 월간 거래량, 10월 이후 4배 증가” 글로벌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Messari)가 X를 통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하이퍼리퀴드(HYPE)의 1월 거래량이 10월 이후 4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美 플로리다 주 상원의원, 정부 비트코인 투자 허용 법안 발의 더블록에 따르면 플로리다 주 공화당 상원의원 조 그루터스(Joe Gruters)는 주정부가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발의된 법안에는 “플로리다 주 최고재무책임자(CFO)가 공적 자금을 사용해 비트코인 및 기타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하며, 투자 금액은 모든 계좌의 총 자금 중 10%를 초과할 수 없다”고 명시됐다.
美 메릴랜드주, BTC 전략적 준비금 도입 법안 발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피디아(coinpedia)에 따르면 미국 하원의원 케일린 영(Caylin Youn)이 메릴랜드주의 비트코인 전략적 준비금 도입 법안을 발의했다. 법안은 메릴랜드주가 비트코인 준비금 펀드(Bitcoin Reserve Fund)를 출범해 주 정부의 준비자산으로 비트코인을 활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는 특정 도박법 위반에 따른 벌금 및 수익의 일부를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도록 주 재무부에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최근 켄터키주 및 미주리주 역시 비트코인 전략준비금 비축 법안을 발의했다.
DCG CEO “탈중앙화 AI 잠재력, BTC 보다 커… 다음 세대 암호화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지털커런시그룹(DCG) CEO 배리 실버트(Barry Silbert)가 주주에게 보내는 서한을 통해 “탈중앙화 AI(deAI)이 다음 세대의 암호화폐가 될 것이다. 비트코인 보다 더 큰 기회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이미 10개 이상의 deAI 프로젝트에 약 1.05억 달러를 투자했다. 2025년에는 투자를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씨티그룹 전 임원 설립 스타트업, XRP 기반 증권 출시 계획 코인데스크가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 씨티그룹 전 임원들이 설립한 스타트업 리시트 디포지터리(Receipts Depositary Corp, RDC)가 XRP 기반 증권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기업은 미국증권거래소를 통해 ADR(미국주식예탁증서)와 유사한 예탁증서를 발행할 예정으로, 해당 상품은 1933년 증권법에 따라 자격을 갖춘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제공된다. 때문에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이 필요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리시트 디포지터리는 현재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기반 증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