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시 나카모토, 2014년까지 온체인 활동 가능성 제기

출처: 토큰포스트

새롭게 밝혀진 단서에 따르면, 비트코인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가 2014년까지 온체인 활동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8일(현지시간) 코인베이스의 디렉터 코너 그로건은 사토시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가 캐나다의 비트코인 거래소 카비르텍스(Cavirtex)와 거래한 기록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사토시가 중앙화 거래소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한 첫 사례로, 그의 활동이 2014년까지 이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로건은 ‘파토시(Patoshi) 마이닝 패턴’이라 불리는 사토시의 것으로 보이는 일련의 주소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약 109만 6,00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약 1080억 달러(약 156조 6,0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지갑에서 24건의 송금이 발생했으며, 가장 빈번한 수신 주소는 ‘1PYYj’로 기록됐다. 특히 이 주소가 카비르텍스에서 비트코인을 받은 정황이 포착되면서 사토시가 해당 거래소를 이용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현재 1PYYj 주소는 또 다른 대형 비트코인 주소인 ‘12ib’를 자금 지원하는 데 활용되고 있으며, 이 주소는 약 30억 달러(약 4조 3,500억 원)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그로건은 크라켄(Kraken) 공동 창립자인 제시 파월에게 카비르텍스가 2016년 크라켄에 인수된 점을 언급하며, 만약 해당 거래소가 고객확인(KYC)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면 사토시의 신원에 대한 중요한 정보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크라켄이 해당 데이터를 삭제할 것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와 마지막 행적에 대한 기존 가설을 흔드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2010년 1PYYj로 보내진 500 BTC의 거래가 사토시의 직접 거래인지 아니면 다른 당사자와의 거래인지를 둘러싸고 새로운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를 둘러싼 다양한 가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유명 암호학자이자 프라이버시 보호 활동가였던 렌 사사만(Len Sassaman)이 사토시일 가능성이 거론된 바 있다. 하지만 결정적 증거가 없었고, 그가 2011년 사망했다는 점 때문에 확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웠다.

이번에 새롭게 밝혀진 정황이 나카모토의 신원과 비트코인의 초기 역사에 대한 논쟁을 다시 촉발할지 주목된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