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 기반 펌프펀, 밈코인 저작권 논란…美 법무법인 소송 직면

출처: 토큰포스트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생성 플랫폼 펌프펀(PumpFun)이 저작권 침해 관련 소송에 직면했다. 미국 법률사무소 버윅 로(Burwick Law)와 울프 파퍼(Wolf Popper LLP)는 6일(현지시간) 펌프펀 측에 ‘드롭스힛2(Dogshit2)’ 토큰을 즉각 제거하라는 내용의 ‘중지 및 철회 명령'(Cease-and-Desist Letter)을 보냈다고 밝혔다.

해당 법무법인들은 펌프펀이 자신들의 브랜드와 이미지를 무단으로 사용해 조직과 직원을 사칭했다고 주장했다. 성명서에서 두 법무법인은 “우리는 드롭스힛2 토큰과 관련된 그 어떤 연관성도 없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발행한 적이 없다”면서 “향후 우리가 소유한 지적 재산권이 무단 활용될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버윅 로 측은 펌프펀이 해당 토큰을 제거할 기술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안이 단순한 브랜드 도용이 아니라 법적 소송을 방해하려는 시도의 일환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법무법인은 “제3자들이 원고를 위협하고 소송을 방해하기 위해 추가적인 토큰을 배포하고 있다”며 “이러한 행위는 블록체인 기술을 악용한 명백한 사법 방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두 법무법인은 투자자들에게 해당 토큰이 ‘펌프 앤 덤프'(Pump-and-Dump) 사기와 유사할 가능성이 있다며 철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버윅 로의 창립자인 맥스 버윅(Max Burwick)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펌프펀 같은 플랫폼이 다단계 금융사기의 진화 형태”라고 비판하며, 이들이 사람들의 절박함과 디지털 주목 경제의 힘을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1월 30일 버윅 로와 울프 파퍼는 펌프펀과 해당 플랫폼을 운영하는 영국 법인 바톤 코퍼레이션(Baton Corporation)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펌프펀은 미등록 증권을 발행하고 5억 달러(약 7,250억 원) 이상의 수수료를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변동성이 큰 토큰을 판매해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에 앞서 버윅 로는 1월 15일 바톤 코퍼레이션을 대상으로 또 다른 집단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해당 소송에서 주요 쟁점이 된 것은 ‘피넛(PNUT)’ 토큰이다. 솔라나 기반의 밈코인 피넛은 한때 10억 달러(약 1조 4,500억 원) 이상의 시가총액을 기록했으나, 투자자 손실을 불러일으키며 논란이 됐다.

현재 펌프펀 측은 별다른 대응을 내놓지 않고 있으며, 해당 토큰이 법적 조치에 따라 제거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