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BNB 체인(BNB Chain) 개발팀이 튜토리얼 영상 제작을 위해 만든 테스트 토큰이 단숨에 밈코인으로 부상하며 한때 시가총액이 3,500만 달러(약 507억 5,000만 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이후 급락하며 현재 시가총액은 1,500만 달러(약 217억 5,000만 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해당 토큰은 BNB 체인의 소셜 토큰 런치패드인 포어닷밈(Four.Meme) 플랫폼에서 밈코인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영상 제작을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바이낸스 공동 창립자 창펑 자오(Changpeng “CZ” Zhao)의 X(구 트위터) 게시물에 따르면 이 밈코인의 이름이 영상 속 한 프레임에 노출됐고, 이를 발견한 BNB 체인 관계자가 곧바로 영상을 삭제했다. 그러나 CZ는 해당 영상을 다시 올리도록 지시했다.
CZ는 자신의 게시물이 해당 토큰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며 “이 토큰은 공식적인 BNB 체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영상 제작을 위한 테스트 토큰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CZ의 게시물이 올라왔을 당시 토큰의 시가총액은 49만 4,000달러(약 7억 1,800만 원)에 불과했다.
이번 사건은 밈코인의 인기가 얼마나 뜨거운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하지만 최근 미국 규제당국과 정치권이 밈코인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어 향후 규제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런치 플랫폼인 펌프닷펀(Pump.fun)은 최근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로 집단 소송에 직면했다. 원고 측은 해당 플랫폼이 미등록 증권을 판매함으로써 블록체인 신뢰도를 훼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1월 출시한 밈코인 ‘트럼프(TRUMP)’도 정치권의 비판을 받고 있다. 미국 법률 전문가들은 대통령이 직접 암호화폐를 출시하는 것이 정치적 이해관계 충돌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특히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 상원의원은 트럼프 밈코인의 윤리적 문제를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밈코인의 급등락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높은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심각한 손실 위험도 동반한다. 투자자들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