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멕스 아서 헤이즈, 미 정부의 비트코인 매입 계획 강력 비판

출처: 토큰포스트

비트멕스 공동 창립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BTC) 비축 계획과 암호화폐 규제 노력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이 같은 움직임이 경제적 안정보다 정치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조치라고 주장했다.

헤이즈는 5일(현지시간) ‘지니(The Genie)’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통해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매입할 경우, 이를 순수한 경제적 목적이 아닌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자산을 매입할 수 있다면 언제든지 팔 수도 있다”며, 단기적인 이익을 노린 정책적 움직임이 시장을 왜곡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공화당 소속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 상원의원이 제안한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BSR)’ 계획을 강하게 비판했다. 헤이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00만 BTC를 매입할 경우, 단기적으로 가격이 상승할 수 있지만 정부의 매수세가 중단되면 상승세도 멈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2026년 민주당이 정권을 되찾게 되면, 비트코인 비축 자산이 새로운 정책 자금 조달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 방식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단순히 자산으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노드를 운영하거나 개발자를 지원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비트코인의 이념적 가치를 정부가 제대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한편, 헤이즈는 트럼프 행정부가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정치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가 비트코인 기금이 선거 자금 마련과 같은 정치적인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한 국부펀드가 비트코인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시장 예측 플랫폼 폴리마켓(Polymarket)은 2025년 말까지 미국이 비트코인을 비축할 확률이 46%에 달한다고 전망했다.

헤이즈는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서도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프랑켄슈타인 암호화폐 법안’이라 부르며, 정부가 복잡하고 엄격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해 결국 대규모 금융기관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규제를 준수할 여력이 있는 것은 코인베이스(Coinbase)나 블랙록(BlackRock) 같은 대기업뿐”이라며, 중소기업과 혁신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미국 내에서 경쟁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일부 기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규제를 지지하는 이유는 자신들에게 유리한 규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반면, 탈중앙화 금융(DeFi) 개발자들은 로비 능력이 부족해 새로운 법안으로 인해 불리한 처지에 놓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그는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규제 명확성을 기대하며 사업을 운영하는 것은 위험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의 기존 금융 시스템이 탈중앙화 혁신을 받아들이기보다 억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헤이즈의 발언은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이 장기적인 시장 안정보다 단기 정책과 정치적 이해관계를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향후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비축 전략과 규제 방향성이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