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전쟁 확대로 비트코인 10만달러 붕괴, 디지털자산 시장 패닉

출처: 토큰포스트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 혼란이 가중되자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아래로 급락하고 전체 디지털 자산 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5일(현지시간) 코인라이브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했다. 디지털 자산 시장 전반이 코로나19 대유행과 FTX 사태 이후 최대 규모의 매도세를 기록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초기에 보복 관세를 예고했으나 이후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연기하기로 합의했으며, 중국도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발표했다. 이러한 상황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며 위험자산의 일시적 폭락을 초래했다. 글로벌 경제가 무역 분쟁에 휘말리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가격 변동성, 채굴 중단, 규제 문제 등 연쇄 반응에 직면했다. 이러한 긴장이 탈중앙화 금융의 성장도 촉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관세전쟁은 전통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여 투자자들을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대체 자산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암호화폐는 경제적 혼란기에 금과 유사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채택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디지털 자산은 여전히 투기적 성격이 강하다. 단기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글로벌 무역의 변동성 증가로 부정적 영향을 받아 무역 정책 변화에 따른 급등락을 보일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전통 금융보다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암호화폐 채굴은 중국 등에서 생산되는 특수 하드웨어에 크게 의존한다. 전자 부품, 반도체, 채굴 장비에 대한 관세는 생산 비용을 높이고 수익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수료 인상은 소규모 채굴업자들을 시장에서 밀어낼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이러한 금융적 폭풍을 견딜 수 있는 자원을 가진 주요 업체들 사이에서 채굴력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관세전쟁은 물리적 상품뿐 아니라 금융 규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관세전쟁에 관여한 정부들은 통제력을 행사하기 위한 추가 수단으로 금융 규제를 활용할 수 있다. 국제 암호화폐 거래, 거래소, 국경 간 지급에 대한 감시 강화는 더 엄격한 규정 준수 요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채택을 늦추고 특히 무역 제한이 강화되는 지역에서 암호화폐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동시에 규제 강화는 일부 사용자들을 전통 은행 시스템 외부에서 운영되는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으로 밀어낼 수 있다. 무역 갈등이 전통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높이면서 탈중앙화 금융이 관세와 규제로 인한 장벽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많은 사용자들이 금융적 자율성을 위해 디파이 플랫폼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은 중개자 없이 개인 간 거래를 가능하게 해 무역 정책의 영향을 자주 받는 전통 은행에 대한 의존도를 낮춘다. 관세전쟁이 계속해서 전통적 무역 채널을 교란한다면 암호화폐 기반 금융 솔루션이 더 많은 채택을 볼 수 있다. 암호화폐는 경제적 불안정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여겨지지만 관세전쟁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변동성 증가와 채굴 비용부터 규제 변화와 디파이의 잠재적 성장까지, 오늘날의 무역 갈등은 내일의 디지털 경제를 형성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단기적으로 새로운 장애물에 직면할 수 있으나, 글로벌 시장이 전 세계 정부의 지속적인 경제 전쟁 속에서 전통 금융의 대안을 찾으면서 장기적으로는 더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자, 채굴업자, 정책 입안자들은 지정학과 디지털 자산 간의 복잡한 관계를 탐색하면서 무역 발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