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토큰포스트
체코 중앙은행(CNB)이 보유 외환 준비금의 일부를 비트코인(BTC)에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CNB 이사회가 약 70억 유로(약 10조 1,500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 투자를 분석하는 제안을 승인한 가운데, 알레시 미클(Aleš Michl) 총재의 결정에 대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이는 CNB의 총외환보유고 중 약 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유럽 중앙은행(ECB) 등 주요 기관이 이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며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Christine Lagarde) ECB 총재는 “비트코인은 중앙은행 준비자산으로서 요구되는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며 중앙은행이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채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미클 총재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크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장기적으로 가치를 크게 상승시킬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른 중앙은행 총재들 사이에서 나의 접근 방식이 다소 실험적이라 인식될 수 있다”며 “하지만 나는 투자은행 출신으로, 수익성을 중시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달리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CNB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비트코인이 글로벌적으로 점차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는 가운데, 체코 중앙은행이 유럽 내 선구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편,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이후 친(親) 블록체인 정책이 확산되며 이미 22개 주가 비트코인을 준비자산으로 포함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제도적 채택이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또 엘살바도르의 사례처럼, 일부 국가는 IMF 등 전통 금융기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도입을 단행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CNB의 최종 결정이 어떻게 내려질지에 따라 유럽 내 다른 국가들의 입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