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분석 “오늘 대규모 USDC 코인베이스 입금…BTC 상승 가능성” 外

출처: 토큰포스트

바이낸스, 2/5 LUNA·KDA·SEI 입출금 일시 중단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LUNA, KDA, SEI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LUNA는 2월 5일 0시(이하 한국시간), KDA는 2월 5일 9시, SEI는 2월 5일 23시에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

권익위, 작년 부패유발요인 개선권고에 가상자산 관련 내용 포함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해 법령 부패영향평가 결과 148개 법령에서 부패 유발 요인 272건을 발굴해 개선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중에는 가상자산(코인) 불공정거래행위 위반에 따른 과징금의 감경 사유를 구체화하고, 과태료 감면 또는 가중에 대한 세부 기준을 마련해 행정기관의 자의적 판단을 방지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트럼프 월드리버티파이낸셜, $3억 규모 8종 암호화폐 코인베이스 입금 온체인 애널리스트 스팟온체인에 따르면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추정 주소가 3억 741만 달러 상당 8개 암호화폐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입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암호화폐에는 △73,783 ETH △552.920 WBTC △16,585 AAVE △ 219,149 LINK △4,941,034 ENA △2,050,010 MOVE △114,754 ONDO △27,859,000 USDC가 포함됐다. 스팟온체인은 “해당 입금은 재무 관리 및 사업 운영 일환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WLFI는 9개 주소에 걸쳐 9662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보유 중”이라고 전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41…전일比 1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한국시간 9시 30분 기준 전일보다 1포인트 상승한 41을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분석 “오늘 대규모 USDC 코인베이스 입금…BTC 상승 가능성” 암호화폐 마켓 애널리스트 마튠(Maartunn)이 크립토퀀트 기고문을 통해 “4일 USDC의 거래소 유입액이 10억 달러를 넘어섰다. 거래소에 유입되는 USDC가 증가하면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2월 4일 1시 23분경 코인베이스로의 대규모 USDC 입금이 포착된 바 있다. 그는 “오늘 약 10억 USDC가 거래소로 유입됐고, 이 중 8.75억 USDC가 코인베이스로 입금됐다. 코인베이스가 대형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거래소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관 자금이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다. 과거에도 대규모 USDC 입금이 있을 때 BTC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거래소로 유입된 스테이블코인은 스테이킹, 담보 제공, 이체 등 여러 목적으로 쓰이는 만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 관악구, 지방세 체납자 암호화폐 압류 추진 서울 관악구가 지방세 체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가상자산)를 압류해 체납액 징수 강화에 나선다고 한국경제가 전했다. 관악구는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5개 거래소를 통해 관악구 지방세 체납자의 가상자산 보유 여부, 압류 가능 여부 등을 검토하고 체납액 징수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에 관악구가 가상자산 압류와 추심 절차를 진행할 체납자는 모두 325명이다. 체납액으로는 10억3600만 원 규모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72…공포→탐욕 전환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28 포인트 오른 72를 기록했다. 공포 단계로 전환된 지 하루만에 투심이 대폭 개선되며 탐욕 단계로 전환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美 재무장관 베센트 CFPB 겸직 임명, 암호화폐 규제 정비 가속화 전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베센트 재무장관을 CFPB 임시 책임자로 지명했다. CFPB는 소비자 금융시장을 감독하는 기관으로 수년간 암호화폐 관련 규제안을 제시해왔다. 베센트는 성명을 통해 CFPB와 협력해 미국인의 비용 부담을 낮추고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제를 추진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