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북클럽] ‘Web3.0 시대의 밈 코인 투자 전략’ 저자 장민 인터뷰

출처: 토큰포스트

“밈 코인은 Web3.0 시대의 핵심… 커뮤니티 중심 토큰 경제가 성공 좌우”

<편집자 주> Web3.0 시대를 맞아 탈중앙화 금융(DeFi)과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확산되면서, ‘밈 코인’이 주류 투자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Web3.0 시대의 밈 코인 투자 전략』을 집필한 장민 저자를 토큰포스트에서 만났다. 그는 포스텍(POSTECH)에서 AI와 기계학습을 전공하고, LG전자, 더존비즈온, 한컴그룹 등에서 신사업 및 투자 업무를 담당한 후, 현재 블록체인 기업 뉴프라미스랩(New Promise Lab)을 운영하고 있다. 장민 저자와 함께 밈 코인의 투자 가치와 Web3.0 시대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Web3.0 시대, 왜 ‘밈 코인’이 중요한가?

장민 저자는 Web3.0의 핵심 키워드로 ‘탈중앙화’와 ‘커뮤니티 주도형 경제’를 꼽았다. 기존 Web2.0 시대는 플랫폼 기업이 데이터를 독점하는 구조였지만, Web3.0에서는 참여자가 직접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는 “밈 코인은 단순한 인터넷 유행이 아니라, Web3.0 시대의 가치관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밈(meme)이라는 개념은 1976년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커뮤니티가 주도적으로 창출하는 콘텐츠라는 점에서 Web3.0의 철학과 맞닿아 있다.

“기존 알트코인 시장은 재단 중심의 개발과 마케팅이 이루어지지만, 밈 코인은 커뮤니티가 직접 가치를 형성합니다. 즉, 특정 프로젝트나 기업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확산하는 것이죠.”

밈 코인의 성공 요인은?

장민 저자는 밈 코인의 투자 성공 요소로 ① 강력한 커뮤니티 형성, ② 지속적인 생태계 유지, ③ Web3.0 기반 토큰 경제 모델 구축을 꼽았다.

“투자자들이 밈 코인에 주목하는 이유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경제 모델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기존 알트코인이 기술적 차별화에 초점을 맞췄다면, 밈 코인은 ‘소셜 트러스트(social trust)’와 ‘집단적 가치’를 반영합니다.”

그는 2024년 밈 코인 시장의 급격한 성장이 이러한 흐름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특히 2025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과 맞물려 등장한 Official TRUMP 코인은 밈 코인이 정치적 요소와 결합할 가능성을 보여줬다.

또한, AI 기술이 밈 코인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4년 등장한 AI 기반 밈 코인 GOAT와 AI16z는 AI가 밈을 창조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새로운 방식의 금융 생태계를 제시했다.

『Web3.0 시대의 밈 코인 투자 전략』이 담고 있는 내용

이 책은 밈 코인에 대한 입문서로, Web3.0 시대에서 밈 코인의 탄생 배경, 시장 동향, 투자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장민 저자는 “밈 코인은 단순한 유행성 자산이 아니라, 커뮤니티 기반 토큰 경제 모델을 이해하는 중요한 사례”라며 “투자자들은 밈 코인의 내재 가치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책은 총 7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명과 밈 – 인간 문명의 탄생과 밈의 역할, AI 시대에서 밈의 변화

밈의 역사 – 밈의 기원과 인터넷 시대에서의 확산

밈의 발전 – 인터넷과 SNS를 통한 밈의 변화 및 통계 분석

블록체인과 밈 코인 – 블록체인이 밈을 수용하면서 변화한 과정

주요 밈 코인 소개 – 현재 시장에서 중요한 10개의 밈 코인 분석

밈 코인의 경제학 – 토큰 경제 모델과 AI가 주도하는 토큰 경제

밈 코인의 성공 요소 – 커뮤니티 구축, 지속 가능성, 블록체인 인프라

그는 “밈 코인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커뮤니티가 어떻게 코인 생태계를 만들 수 있는지에 집중해야 한다”며, 향후 **‘밈 코인 투자 전략 실전편’**을 통해 실질적인 투자 가이드를 제공할 계획도 밝혔다.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제언

장민 저자는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이 미래 경제의 필수 요소라며, 한국이 글로벌 흐름에 맞춰 적극적인 법제화와 연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시장을 지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도 빠르게 대응해야 합니다. 블록체인과 AI가 결합하면서 가상자산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므로, 정부와 기업, 개인 모두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지식과 실행력을 겸비해야 한다”는 조언을 남겼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행’입니다. 아무리 좋은 투자 기회가 있어도 실행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블록체인과 AI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직접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 밈 코인의 진정한 가치

마지막으로 그는 밈 코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밈 코인은 단순히 재미로 만들어진 자산이 아닙니다. 커뮤니티 주도형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실험이자, Web3.0 시대의 핵심 요소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는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단기 투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그는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밈 코인이 더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할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열린 마음으로 Web3.0 시대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Web3.0 시대의 밈 코인 투자 전략』은 밈 코인 시장을 분석하고, 투자자들에게 필요한 핵심 요소를 짚어주는 중요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원문보러가기(클릭)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문의하기 버튼